2021년 11월 09일 화요일
[백] 라테라노 대성전 봉헌 축일
라테라노 대성전은 로마에 있는 최초의 바실리카 양식의 대성당이다. 이 축일은 324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라테라노 대성전을 지어 봉헌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며, 12세기부터 11월 9일에 지내 왔다고 한다. ‘전 세계와 로마의 모든 교회의 어머니요 머리’라고 일컫는 대성전의 영예를 기리는 이 축일은 처음에는 로마에서만 지내다가,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성인이 기록한 대로 “사랑의 모든 공동체를 이끄는” 베드로 교좌에 대한 사랑과 일치의 표지로서 로마 예법의 모든 교회로 확대되어 나갔다.
라테라노 대성전은 ‘모든 성당의 어머니요 으뜸’으로 불리면서 현재의 베드로 대성전으로 옮겨지기 전까지 거의 천 년 동안 역대 교황이 거주하던, 교회의 행정 중심지였다. 각 지역 교회가 로마의 모(母) 교회와 일치되어 있음을 드러내고자 라테라노 대성전의 봉헌 축일을 지낸다.
입당송 묵시 21,2
묵시 21,3 참조
본기도
하느님의 교회를 배필이라 이르시니
하느님의 이름을 섬기는 백성이
하느님을 두려워하고 사랑하며 따르도록 이끌어 주시어
약속하신 천상 행복에 이르게 하소서.
성부와 성령과 …….
말씀의 초대
에제키엘 예언자는, 성전 오른쪽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보고, 그 물이 닿는 곳마다 모든 것이 살아난다는 천사의 말을 듣는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성전을 정화하시고, 이 성전을 허물면 사흘 안에 다시 세우시겠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성전 오른쪽에서 흘러나오는 물을 보았네. 그 물이 닿는 곳마다 모두 구원을 받았네(따름 노래 “성전 오른쪽에서”).>47,1-2.8-9.12
3,9ㄴ-11.16-17
화답송시편 46(45),2-3.5-6.8-9(◎ 5)
복음 환호송2역대 7,16 참조
복음
<예수님께서 성전이라고 하신 것은 당신 몸을 두고 하신 말씀이었다.>2,13-22
예물 기도
감사송
<주님의 축일과 신비 감사송 10-2 : 그리스도의 배필이며 성령의 성전인 교회의 신비(성당 봉헌)>영성체송 1베드 2,5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유학 시절, 이웃 나라인 이탈리아의 로마를 처음으로 찾았습니다. 신학생으로서 로마의 4대 대성전은 방문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으로 혼자서 로마를 돌아다녔습니다. 먼저 그 웅장함과 화려함에 놀랐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인 라테라노 대성전도 방문하였는데, 대성전보다 더 많은 것을 느끼게 해 주었던 조그만 성당을 아직도 잊을 수 없습니다. 대성전 주변에 있는 ‘성 계단 성당’(Scala Sancta)입니다. 그곳에는 예수님께서 빌라도에게 심문을 받으실 때 오르셨던 총독 관저의 대리석 계단이 있습니다. 나무 덮개로 씌워진 계단을 가득 채운 사람들이 한 계단, 한 계단 무릎으로 오르며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고 있었습니다. 계단을 덮어 씌운 나무판자는 움푹 파이고 낡아서 얼마나 많은 사람이 그 계단을 올랐는지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저 또한 판자 위에 무릎을 꿇고 이 계단을 오르셨던 가시관 쓰신 예수님을 그려 보았습니다.
예수님께 쏟아졌던 모욕과 조롱, ‘십자가에 못 박아 죽이라’는 야유와 배신, 자기 안위만을 생각하며 도망친 비겁함과 침묵, 채찍 자국이 그대로 남아 피투성이가 된 예수님의 몸 ……. 스물여덟 층의 계단에는 그렇게 예수님의 수난과 고통, 그리고 죽음이 묻어 있습니다. 예루살렘의 성전을 정화하시며 예수님께서는 더 이상 성전을 단순한 건축물로 생각하지 않으십니다. 희생되신 당신의 몸이며 못 자국이 선명하게 새겨진 당신의 손이며 우리를 위해서 기꺼이 당신을 내어 주신 희생과 나눔이 바로 성전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사랑을 위하여 스스로 죽어 가는 삶 속에서 우리는 예수님을 만납니다. 욕심을 버리고 희생하고 나누며 살아갈 때, 바로 그곳이 하느님을 만나는 성전이 됩니다.
영성체를 통하여 그 사랑의 몸을 받아 모신 우리는, 나를 통해서 다른 이들 또한 하느님을 만날 수 있도록 성전이 되어 주어야 합니다. 그분의 사랑 앞에 무릎을 꿇고 한 계단씩 오르는 사랑을 실천하면서 오늘 누군가의 성전이 되어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