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7월 25일 토요일
[홍] 성 야고보 사도 축일
야고보 사도는 갈릴래아의 벳사이다 출신으로 제베대오의 아들이며, 요한 사도의 형이다. 어부였던 야고보는 갈릴래아 호수에서 그물을 손질하다가 동생 요한과 함께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다. 그는 베드로 사도, 요한 사도와 더불어 예수님께 사랑을 많이 받은 제자 가운데 하나다.
열두 사도에는 야고보가 둘 있는데, 오늘 축일을 지내는 야고보는 알패오의 아들 ‘작은(소) 야고보’와 구분하여 ‘큰(대) 야고보’라고도 부른다. 야고보 사도는 42년 무렵 예루살렘에서 순교하였다. 특히 에스파냐의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에서 공경을 받고 있는데, 그곳에는 사도의 이름으로 봉헌된 유명한 성당이 있다.
입당송 마태 4,18.21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우리는 보물을 질그릇 속에 지니고 있는데, 그 엄청난 힘은 하느님의 것으로, 우리에게서 나오는 힘이 아님을 보여 주시려는 것이라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높은 사람이 되려는 이는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우리는 언제나 예수님의 죽음을 몸에 짊어지고 다닙니다.>4,7-15
화답송시편 126(125),1-2ㄱㄴ.2ㄷㄹ-3.4-5.6(◎ 5)
복음 환호송요한 15,16 참조
복음
<너희는 내 잔을 마실 것이다.>20,20-28
예물 기도
감사송
<사도 감사송 1 : 하느님 백성의 목자인 사도>영성체송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우리는 보물을 질그릇 속에 지니고 있습니다.” 바오로 사도의 말씀은 우리와 하느님의 관계를 알려 주는 적절한 표현입니다. 질그릇은 글자 그대로 화려하지 않고 투박하며 값지지 않은 평범한 그릇입니다. 그리고 질그릇은 쉽게 깨지고 부서질 수 있는 성질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질그릇과 같은 존재입니다. 이 비유는 우리의 현실을, 인간이 지닌 나약함을 잘 보여 줍니다. 이렇게 우리는 인간으로서 나약한 존재이지만 무엇보다 값진 보물을 지니고 있습니다. 하느님의 말씀과 그분께서 보여 주신 구원의 업적입니다. 우리 스스로는 힘이 없지만 우리 안에 담긴 보물을 통하여, 하느님의 힘을 통하여 어려움 속에서도 말씀을 선포하고 구원을 향하여 갑니다.
복음은 제자들의 모습을 통하여 우리의 나약함을, 인간적인 욕심과 생각들을 이겨 내도록 일깨워 줍니다. 세상은 높은 자리에 앉는 것을 좋아하고 다른 이들을 다스리는 것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가르침은 그와 정반대입니다. “너희 가운데에서 높은 사람이 되려는 이는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높은 사람은 섬김을 받고 낮은 사람은 섬겨야 한다는 세상의 생각을 뒤집는 말씀입니다.
예수님께서는 임금으로 이 세상에 오셨지만, 누군가의 위에 군림하신 것이 아니라 ‘많은 이들’을 위하여 당신의 목숨을 바치신 분이십니다. 제자들과 신앙인에게 요구되는 것은 세상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삶을 본받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를 삶의 중심에 두라는 말씀입니다. 우리 역시 하느님의 힘을 통하여 세상에서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을 살아갑니다. 세상의 어려움과 우리의 나약하고 부족한 모습 역시 넘어설 수 있습니다. 우리 안에는 보물 같은 하느님의 힘이 있기 때문입니다.
(허규 베네딕토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