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9월 03일 목요일
[백]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 학자 기념일
성 대 그레고리오 교황께서는 540년 무렵 로마의 부유하고 신심 깊은 가문에서 태어나셨다. 법학을 비롯한 고등 교육을 받으시고 로마의 고위 공직을 지내셨지만, 수도 생활을 시작하시어 부제로 서품되시고,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황 사절의 임무를 수행하셨다. 590년 교황으로 뽑히신 성인께서는 교황을 ‘하느님의 종들의 종’이라고 표현하신 최초의 교황이시다. 교황권을 지배하는 특권이 아니라 봉사하는 특전이라고 생각하셨기 때문이다. ‘그레고리오 성가’도 그분의 이름에서 따왔는데, 그레고리오 교황께서는 전례 음악뿐 아니라 신앙과 도덕에 관한 저서를 많이 남기시고, 604년에 세상을 떠나셨다.
입당송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아무도 인간을 두고 자랑해서는 안 된다며,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것이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것이라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시몬에게, 이제부터 너는 사람을 낚을 것이라고 하시자,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른다(복음).
제1독서
<모든 것이 다 여러분의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것이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것입니다.>3,18-23
화답송시편 24(23),1-2.3-4ㄱㄴ.5-6(◎ 1ㄱ)
복음 환호송마태 4,19 참조
복음
<그들은 모든 것을 버리고 예수님을 따랐다.>5,1-11
예물 기도
영성체송 루카 12,4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깊은 데로 나아가야 합니다. 얕은 곳에 머물러서는 안 됩니다. 얕은 곳은 군중이 몰려들어 누가 누군지도 모른 채 예수님의 말씀이 흩어지고 소모될 뿐입니다. 밤새 어두운 곳에서 어쭙잖은 옹졸함에 파묻혀 헤맬 뿐입니다. 얕은 이기심과 자존심으로 매번 우리의 인생은 소모적인 갈등과 분쟁으로 지저분해질 뿐입니다.
스승이신 예수님께서는 깊은 데로 우리를 나아가게 하십니다. 깊은 곳에는 물고기가 많고, 물고기를 끌어 올릴 사람도 많이 필요합니다. 거기서 베드로는 죄인임을 고백합니다. 풍성함과 죄의 고백이 서로 만나는 깊은 곳, 그곳에 대한 묵상을 겸허히 시작해야 합니다.
많은 것을 누리려 덤빌 때마다 우리는 얕아집니다. 얕은 곳에서 발버둥 치듯 경쟁하고, 경쟁할수록 우리는 깊고 넓은 풍성함을 누릴 이유와 지향조차 잊어버립니다. 그러다 갑자기 깊은 곳에 놓이면 허우적대며 가라앉습니다. 빈약함과 공허함이 가득한 얕은 곳에서 살아서인지, 깊고 풍성한 삶에 대한 준비와 이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경쟁이라는, 생존이라는 현실에 세뇌되고 마비된 것일지 모릅니다.
죄의 고백은 자신의 얕음에 대한 고백입니다. 더 많은 것을 누릴 수 있는 새로운 희망으로 내딛는 발걸음이 죄의 고백입니다. 더불어 죄의 고백은 새로운 세상에 대한 가능성을 깨닫는 것입니다. 그 세상에는 많은 이들이 많은 것을 함께 나눌 수 있는 것이 당연한 현실로 주어져 있습니다. 굳이 경쟁하지 않아도, 굳이 일등을 하지 않아도 저마다 누릴 풍요로움이 예수님 덕분에 주어져 있습니다. 우리는 이곳을 천국이라 하지요. 천국은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노를 저어 나가는 죄인들의 회개로 이루어집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