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9월 07일 월요일
[녹] 연중 제23주간 월요일
입당송 시편 119(118),137.124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악의와 사악이라는 묵은 누룩이 아니라, 순결과 진실이라는 누룩 없는 빵을 가지고 축제를 지내자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고발할 구실을 찾는 이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안식일에 병자를 고쳐 주신다(복음).
제1독서
<묵은 누룩을 깨끗이 치우십시오. 우리의 파스카 양이신 그리스도께서 희생되셨기 때문입니다.>5,1-8
화답송시편 5,5-6ㄱㄴ.6ㄷ-7.12(◎ 9ㄴ)
복음 환호송요한 10,27 참조
복음
<그들은 예수님께서 안식일에 병을 고쳐 주시는지 지켜보고 있었다.>6,6-11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42(41),2-3
요한 8,1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손을 움켜쥐었다 다시 펼쳐 봅니다. 몇 번이고 움켜쥐고 펼쳐 보고, 그러다 잠시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아 있는 손등을 찬찬히 살펴봅니다. “고생했다, 고생했다 ……. 지금껏 살아온 것만으로도 참 고생했다.”라며 스스로를 토닥여 봅니다.
얼마나 많이 쥐려고 애를 태웠을까요. 얼마나 내려놓으려 참고 또 참았을까요. 예수님께서 말씀하십니다. 더 이상 숨지 마라, 더 이상 기죽지 마라, 그리고 더 이상 너를 다그치지 마라. 그리고 또 말씀하십니다. “일어나 가운데에 서라.”
얼마나 우리 자신을 인생의 중심에 선보인 적이 있을까 싶어요. 누구 의 아빠, 누구의 엄마, 누구의 아들 또는 딸로서 인생의 대부분을 그냥 그렇게 흘려보내고, 정작 무엇인가 움켜쥐었지만 아무것도 잡지 못한 허망한 손 하나만 남은 것은 아닐까요.
안식일에 합당한 일은 제 이름과 모습을 잃어버린 채 살아온 삶에 대한 보상입니다. 그 일은 우리 각자가 먼저 해 나가야 할 일이기도 하지요. ‘손을 뻗어야 하는 일’, 적어도 그 일을 먼저 하여야만 예수님께서 우리 삶 곳곳에 기적을 베풀어 주십니다.
골이 잔뜩 나서 예수님을 없애려 모여드는 이들은 여전히 손을 꼭 움켜쥡니다. 절대로 잃어버리지 않겠다고 우기듯 손가락 마디마디에 힘을 줍니다. 그렇게 그들은 스스로를 잃어 갑니다. 무엇을 쥐고 있는지, 도대체 왜 쥐고 있는지 모른 채 그들은 하느님을 고백하며 하느님을 죽일 것입니다. 저 자신이 누구인지, 무엇을 하는지도 모르며 말입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