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9월 20일 일요일
[홍]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우리나라는 18세기 말 이벽을 중심으로 한 몇몇 실학자들의 학문적 연구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들 가운데 이승훈이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가 탄생하였다. 선교사의 선교로 시작된 외국 교회에 견주면 매우 특이한 일이다. 그러나 당시의 조선은 충효를 중시하던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리스도교와 크게 충돌하였다. 그 결과 조상 제사에 대한 교회의 반대 등으로 박해가 시작되었다. 신해 박해(1791년)를 시작으로 병인박해(1866년)에 이르기까지 일만여 명이 순교하였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는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의 해인 1984년 우리나라를 방문하시어 이 순교자들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평신도인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하여 103명을 시성하셨다. 이에 따라 그동안 9월 26일에 지냈던 ‘한국 순교 복자 대축일’을 9월 20일로 옮겨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지내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늘 전례
▦ 오늘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입니다. 자랑스러운 신앙 선조들을 기리며, 순교자들의 피로 우리를 복음의 빛 안으로 불러 주신 주님께 감사드립시다. 그리고 신앙 선조들의 순교 신앙을 본받아, 저마다 자신의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기로 다짐합시다.
입당송
본기도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말씀의 초대
지혜서의 저자는, 의인들의 영혼은 하느님의 손안에 있어, 어떠한 고통도 겪지 않는다고 한다(제1독서).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신데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냐고 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당신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하느님께서는 번제물처럼 그들을 받아들이셨다.>3,1-9
화답송시편 126(125),1-2ㄱㄴ.2ㄷㄹ-3.4-5.6(◎ 5)
제2독서
<죽음도, 삶도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8,31ㄴ-39
복음 환호송1베드 4,14 참조
복음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그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다.>9,23-26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친교의 주님, 모든 성인의 통공을 고백하는 교회를 굽어보시어, 지상의 순례자인 저희와 천상에 있는 복된 이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을 이루며 서로 돕게 하소서.
2. 우리나라의 평화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평화의 주님, 남북 분단의 고통을 겪는 이 겨레에 용기와 힘을 주시어, 한반도의 평화가 세계 평화의 원천이 될 수 있음을 깨닫고, 깨달은 것을 삶에서 실천하도록 도와주소서.
3. 굶주리고 있는 이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보호자이신 주님, 굶주림에 시달리는 이들을 굽어살피시어, 그들을 위로하시고, 이웃인 저희가 관심을 기울이고 사랑을 실천하게 하소서.
4. 가정 공동체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사랑이신 주님, 그리스도 신앙 안에서 살아가는 가정들을 돌보시어, 주님의 뜻을 따라 사랑을 실천하며 감사와 기쁨이 가득한 행복의 보금자리를 만들어 가도록 이끌어 주소서.
예물 기도
감사송
<한국 고유 감사송 1 : 선조들의 신앙>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함이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아버지께서는 저희 선조들을 복음의 빛 안으로 불러 주시어
무수한 순교자들의 피로 교회를 세우시고 자라게 하셨으며
그들이 갖가지 빛나는 덕행을 갖추고
혹독한 형벌 속에서도 죽기까지 신앙을 지켜
마침내 아드님의 승리를 함께 누리게 하셨나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모든 천사와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저희도 땅에서 주님의 영광을 찬미하며 끝없이 노래하나이다.
영성체송 마태 10,3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 “어리석은 자들의 눈에는 의인들이 죽은 것처럼 보이고, 그들의 말로가 고난으로 생각되며, 우리에게서 떠나는 것이 파멸로 여겨지지만, 그들은 평화를 누리고 있다.” 영원한 참평화를 누리고 있는 우리 순교자들에게서 불사의 희망을 배웁시다.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루카 복음에서 주님을 따르는 십자가의 길은 일상입니다. 예수님 말씀에 ‘날마다’라는 말마디가 추가되는 까닭입니다. 특정한 순간의 어려움을 겪는 것이 십자가의 길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살면서 마주치는 수많은 어려움들은, 실제로는 십자가와 무관한 경우가 많지요. 삶의 처세를 위한 고난을 예수님의 십자가와 엮는 것은, 꽤나 부끄러운 일입니다.
무엇보다 십자가는 예수님을 위하고, 예수님께서 위하신 이웃을 향하는 삶에서 시작합니다. 하느님 사랑이 이웃 사랑과 다르지 않다고 수없이 듣고 들어 온 신앙인들에게, 십자가는 낯선 이들과의 연대, 불편한 사람과의 동행, 부조리한 사회에 대한 비판을 겸한 공동체적 삶의 지렛대가 되어야 합니다. 물론 이 모든 것에 앞서서, 뜻이 달라도, 부족하고 어눌하더라도 제 이웃을 사랑하겠노라는 다짐은 십자가를 짊어지기 전에 점검해 보아야 할 삶의 기본입니다.
일상이 녹록하지 않다는 사실은 세상 처음부터 그러하였을 것입니다.원시 시대든, 인공 지능(AI)이 인간을 지배할 것 같은 미래의 어느 시간이든 사는 것이 왜 안 힘들겠습니까. 다만, 시대의 순간순간 함께하는 삶의 이질성에 질문을 던지고 그 질문에 함께 답할 이웃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는 이와, 제 삶에만 천착하여 다른 삶에 대한 질문은커녕 제 삶의 의미마저 속세의 천박한 유혹에 저당 잡힌 이들의 간극은 천국과 지옥보다 더 큰 것이겠지요. 십자가의 삶은 타인의 삶 안에서 제 삶의 가치를 깨닫는 이들에게 주어지는 선물입니다.
오늘 우리가 기억하는 한국의 순교자들은 큰 선물을 미리 받은 이들입니다. ‘그들의 희생이 대단하다. 그들의 순교를 감히 누가 따를 수 있겠는가?’ 하는 정도로만 오늘을 기억한다면, 그것은 십자가를 질 마음이 우리에게 없다는 방증입니다. 순교자들을 기억하면서 부러워해야겠습니다. 부러워서 나도 얼른 그 선물을 움켜쥐고 싶어야겠습니다. 십자가를 진다는 것이 설레는 기쁨이 되어야겠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얼른 이웃을 찾아 나서야겠습니다.
(박병규 요한 보스코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