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죽은 모든 이를 기억하는 위령의 날 - 셋째 미사
입당송 로마 8,11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지혜서의 저자는, 예지가 곧 백발이고, 티 없는 삶이 곧 원숙한 노년이라고 한다(제1독서). 바오로 사도는, 그리스도와 함께 죽었으니 그분과 함께 살리라고 믿는다고 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하늘 나라는 저마다 등을 들고 신랑을 맞으러 나간 열 처녀에 비길 수 있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티 없는 삶이 곧 원숙한 노년이다.>4,7-15
화답송시편 23(22),1-3.4.5.6(◎ 1 또는 4ㄱㄴㄷ)
제2독서
<우리는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되었습니다.>6,3-9
6,3-4.8-9
복음 환호송필리 3,20 참조
복음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25,1-13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인도자이신 주님, 지상의 나그네인 교회를 굽어보시어,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충실히 따르며 하느님 나라의 기쁨을 미리 맛볼 수 있는 은총을 베풀어 주소서.
2. 우리나라의 평화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평화의 샘이신 주님, 분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희 민족을 돌보시어, 남북이 열린 마음으로 교류하며, 세계정세에 흔들리지 않을 신뢰를 쌓아 평화를 이루게 하소서.
3. 세상을 떠난 사람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 세상을 떠난 모든 이에게 주님의 자비와 사랑을 베푸시어, 그들의 잘못을 너그러이 용서하시고, 하느님 나라에서 영원한 안식을 얻게 하소서.
4. 본당 공동체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일치의 주님, 저희 본당 공동체의 구성원들을 도와주시어,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임을 깨닫고, 각자의 사명과 역할에 더욱 충실할 수 있게 하소서.
예물 기도
감사송
<위령 감사송 1 :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부활의 희망>영성체송 필리 3,20-21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복음 가운데 열 처녀의 비유만큼 슬기로움과 어리석음을 잘 비교해 주는 이야기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 비유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지 않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등과 함께 기름을 준비한 슬기로운 처녀들과 등만을 준비한 어리석은 처녀들의 비교는 혼인 잔치로 비유되는 주님의 날을 묘사합니다. 누구도 예상하지 못한 때에 혼인 잔치의 주인공인 신랑이 옵니다. “신랑이 온다. 신랑을 맞으러 나가라.” 그동안 준비하고 기다리던 때가 왔지만, 어리석은 처녀들에게는 문제가 생깁니다. 기름이 모자란 것입니다.
이 비유를 해석하려는 사람들은 가장 먼저 등과 기름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해하였습니다. 아마도 등은 우리의 믿음을, 그리고 기름은 믿음을 드러내는 선한 행위일 것입니다. 마태오 복음서가 줄곧 믿음과 말씀의 실행을 강조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해석은 적절해 보입니다. 오늘 복음의 비유는 믿음만이 아니라 믿음의 실천을 이야기합니다. 우리의 믿음을 등처럼 환하게 밝힐 수 있는 것은 말씀의 실천과 믿음에 따른 선행입니다.
이 비유를 읽다 보면 슬기로운 처녀들이 어리석은 처녀들을 대하는 태도가 야속하다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인간적으로 기름을 나누어 주면 더 좋지 않느냐고 물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나눌 수 없는 것도 있습니다. 믿음을 실천하는 것을 다른 이들과 나눌 수는 없습니다. 열 처녀에 관한 비유는 이렇게 신앙인들에게 주님의 날을 위하여 미리 말씀을 실천하면서 준비하도록 요청합니다. 믿음과 실천은 등과 기름처럼 따로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