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05일 목요일
[녹] 연중 제31주간 목요일
입당송 시편 38(37),22-23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그에게 이롭던 것들을, 그리스도 때문에 모두 해로운 것으로 여기게 되었다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하늘에서는 의인 아흔아홉보다는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 때문에 더 기뻐할 것이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나에게 이롭던 것들을, 나는 그리스도 때문에 모두 해로운 것으로 여기게 되었습니다.>3,3-8ㄱ
화답송시편 105(104),2-3.4-5.6-7(◎ 3ㄴ)
복음 환호송마태 11,28 참조
복음
<하늘에서는,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 때문에 더 기뻐할 것이다.>15,1-10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16(15),11 참조
요한 6,57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예수님께서는 다양한 활동을 하셨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을 꼽자면 하느님 나라의 선포라 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를 통하여 하느님의 구원을 선포하십니다. 또한 그분께서는 가르침을 통하여 사람들이 잘못 알고 있던 하느님의 뜻이 무엇인지 알려 주십니다. 이런 모습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사람들과의 관계 안에서 보여 주신 예수님의 행동입니다. 오늘 복음의 내용은 그 단면을 보여 줍니다. “저 사람은 죄인들을 받아들이고 또 그들과 함께 음식을 먹는군.” 물론 바리사이들과 율법 학자들의 볼멘소리지만, 오히려 이것이 예수님의 모습을 잘 드러냅니다.
예수님께서는 실제로 죄를 용서하시고, 죄인을 받아들이시고 그들과 화해하시며 그들도 하느님의 자녀라는 것을 드러내시려고 함께 음식을 나누십니다. 함께 식탁에 앉는 것은 단순히 음식을 먹는 것만이 아니라 하느님과의 친교와 화해를 나타냅니다. 지금 우리가 거행하는 성체성사의 의미와 비슷합니다. 죄인들도 하느님의 식탁에 초대받은 자녀들입니다.
이런 예수님의 행동은 “나와 함께 기뻐해 주십시오.”라는 말로 요약됩니다. 죄인을 받아들이고 친교 안에 함께 머무는 것은 기뻐해야 할 일입니다. 우리 자신이 한 마리의 잃어버린 양일 수도 은전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아흔아홉 마리의 양이나 은전 아홉 닢일 수도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모두가 한데 모여 친교를 나눈다는 점입니다. 예수님과 함께하는 식탁에 모두가 모인다는 것은 하늘에서도 그리고 우리에게도 분명 기쁜 일입니다. 이제 우리도 예수님의 행동에 동참하도록 초대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