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1월 17일 화요일
[백]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수도자 기념일
엘리사벳 성녀는 1207년 헝가리에서 공주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신심이 깊었던 그는 남부럽지 않게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있었지만, 참회와 고행의 생활을 하며 많은 사람에게 자선을 베풀었다. 그는 남편이 전쟁에서 사망하자 재속 프란치스코회에 들어가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주고 병원을 세워 직접 병자들을 돌보았다. 1231년 스물네 살에 선종한 그는 자선 사업의 수호성인이자,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수호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입당송 마태 25,34.36.40 참조
시편 112(111),9
본기도
말씀의 초대
요한 사도는, 사르디스 교회에게 깨어 있으라고 하고, 라오디케이아 교회에게는 열성을 다하고 회개하라고 전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세관장 자캐오의 집에 들어가 묵으시며, 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누구든지 문을 열면, 나는 그의 집에 들어가 그와 함께 먹을 것이다.>3,1-6.14-22
화답송시편 15(14),2-3ㄱ.3ㄴㄷ-4ㄱㄴ.5(◎ 묵시 3,21 참조)
복음 환호송1요한 4,10
복음
<사람의 아들은 잃은 이들을 찾아 구원하러 왔다.>19,1-10
예물 기도
영성체송 요한 15,13
요한 13,35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자캐오는 세리이며 부자였습니다. 실제로 당시 세리들은 세금을 징수하면서 부당하게 이득을 얻기도 하였습니다. 로마는 세금을 효율적으로 거두어들이려고 이스라엘 사람들을 세금 징수원으로 고용하고 세금이 덜 걷히면 세리들이 물어내도록 하였습니다. 이런 제도는 자연스럽게 더 많은 세금을 거두어들이는 결과를 가져왔으나, 세리들은 사람들에게 외면받았고 죄인 취급을 받았습니다. 당시 이스라엘을 점령하고 있던 로마를 이롭게 하는 민족의 반역자로 여겨졌기 때문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사람들이 자캐오를 가리켜 죄인이라고 이야기하는 데에서 이미 그가 사람들에게 큰 죄인으로 여겨졌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큰 어려움 없이 살았을 그에게 예수님과의 만남은 인생의 전환점이 됩니다. 그의 집에 머무르시겠다는 예수님의 말씀에 자캐오는 “예수님을 기쁘게 맞아들입니다.” 예수님을 만나고 예수님과 함께 머무는 기쁨은 벌써 자캐오를 변화시킵니다. “제 재산의 반을 가난한 이들에게 주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다른 사람 것을 횡령하였다면 네 곱절로 갚겠습니다.”
자캐오가 변화되는 중심에 예수님께서 계십니다. 예수님과의 만남은 자캐오가 이전의 삶을 바꾸어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계기가 됩니다. 우리는 이 안에서 하느님 나라의 모습을 봅니다. 하느님 나라는 결국 예수님과 함께 머무는 기쁨에서 체험할 수 있습니다. 그 기쁨은 이전의 것을 바꾸어 이웃 안에서 사랑을 실천하는 힘이 됩니다. 이것이 바로 현재에서 구원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일 것입니다. “오늘 이 집에 구원이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