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0월 07일 목요일
[백] 묵주 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
16세기 중엽 오스만 제국(현재의 튀르키예를 중심으로 한 이슬람 제국)이 지중해로 세력을 뻗치자, 1571년 10월 7일 그리스도교 연합군(신성 동맹)은 그리스의 레판토 항구 앞바다에서 벌인 ‘레판토 해전’에서 오스만 제국을 무찔렀다. 그리스도인 군사들은 이 전투에서 크게 승리한 것이 묵주 기도를 통한 성모님의 간구로 하느님께서 함께하신 덕분이라고 여겼다. 이를 기억하고자 성 비오 5세 교황께서 ‘승리의 성모 축일’을 제정하셨다. 1960년 성 요한 23세 교황께서는 ‘묵주 기도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 기념일’로 이름을 바꾸셨다.
입당송 루카 1,28.42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말라키 예언자는 악을 저지르는 자들이 모두 검불처럼 되는 날이 다가온다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누구든지 청하는 이는 받고, 찾는 이는 얻고, 문을 두드리는 이에게는 열릴 것이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보라, 화덕처럼 불붙는 날이 온다.>3,13-20ㄴ
화답송시편 1,1-2.3.4와 6(◎ 40〔39〕,5ㄱㄴ)
복음 환호송사도 16,14 참조
복음
<청하여라, 너희에게 주실 것이다.>11,5-13
예물 기도
감사송
<복되신 동정 마리아 감사송 1 : 어머니이신 마리아>영성체송 루카 1,31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우리에게 ‘기도의 자세’를 알려 주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하느님께 무엇을 청하고 바랄 때, 줄곧 졸라 대는 지속적인 태도, 곧 ‘청하고, 찾고, 두드리는’ 간절한 마음을 지니라는 가르침을 전해 주십니다. 그러면 필요한 것을 얻고, 문이 열릴 것이라는 희망도 함께 말입니다.
그런데 한번 생각해 봅시다. 우리가 이러한 자세로 기도할 때 모든 것이 다 이루어지던가요? 하느님께서 응답해 주신 적도 있겠지만, 그러지 않으신 적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가 간절한 마음으로 ‘청하고, 찾고, 두드리며’ 하느님께 기도를 드려도, 하느님께서 우리의 기도를 듣지 않으시는 것처럼 느껴질 때도 많습니다. 그러한 체험들은 때로는 예수님의 말씀을 온전히 믿기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러면 예수님께서 가르쳐 주시는 기도의 참된 의미는 무엇일까요?
먼저, 하느님에 대한 신뢰입니다. 기도할 때, 우리는 하느님을 향하여 온전한 믿음을 지녀야 합니다. 이는 하느님만이 모든 일을 온전히 하실 수 있는 분이시며, 하느님께서 우리에게 주시는 것은 무엇이든 가장 좋은 것이라고 믿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우리가 청하는 것이 무엇인지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우리는 자신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하느님께 청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혹시 ‘뱀’이나 ‘전갈’은 아닌지요? ‘좋은 것’이 아니라, ‘나쁜 것’을 청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우리 눈에 좋게 보이는 것이 하느님의 눈에는 뱀과 전갈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늘 기억해야 합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가 ‘바라는 것’을 주시는 분이 아니라, 우리에게 ‘필요한 것’을 주시는 분이심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