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9월 21일 수요일
[홍]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성 마태오 사도는 카파르나움에서 로마 제국을 위하여 세금을 걷는 세리로 일하다가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사도가 되었다. “예수님께서 길을 가시다가 마태오라는 사람이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마태 9,9). 마태오 사도가 전하는 증언의 핵심은 “부활하신 이 그리스도께서 바로 복음서가 서술하는 나자렛 예수님과 동일한 분이시라는 것”(『주석 성경』, ‘마태오 복음서 입문’)이다. 전승에 따르면, 마태오 사도는 에티오피아 또는 페르시아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하였다.
입당송 마태 28,19-20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우리 각자가 받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라고 권고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세관에 앉아 있는 마태오를 부르시어 세리와 죄인과 한 식탁에 앉으시고는, 당신께서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그리스도께서 어떤 이들은 사도로 어떤 이들은 복음 선포자로 세워 주셨습니다.>4,1-7.11-13
화답송시편 19(18),2-3.4-5ㄱㄴ(◎ 5ㄱ)
복음 환호송
복음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예수님을 따랐다.>9,9-13
예물 기도
감사송
<사도 감사송 1 : 하느님 백성의 목자인 사도>영성체송 마태 9,13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세리 마태오는 다른 공관 복음서들에서 ‘레위’로 소개됩니다(마르 2,14; 루카 5,27 참조). 주님께서 마치 시몬에게 ‘베드로’라는 이름을 주셨듯이, 레위에게 마태오라는 새 이름을 주신 듯합니다. 마태오(그리스어로 마태오스)라는 이름은 히브리 말 이름 ‘마티트야’에서 온 것으로 ‘주님의 선물’이라는 뜻입니다. 동족에게 세금을 걷어 로마에 바치는 세리였던 그가 제자로 부르심을 받은 일은 정녕 주님의 선물이었습니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소명과 응답이라는 이 단순한 장면은 그 자체로 언제나 감동을 줍니다. 예수님께서 사시던 카파르나움(마태 9,1; 마르 2,1 참조)의 세리였던 마태오는 예수님에 관하여 이미 많은 소문을 들었을 것입니다. 그가 평소에 세리라는 수입이 보장된 직업과 매국노라는 비난 사이에서 깊이 고뇌하며 떳떳하고 기쁜 삶을 살고 싶은 열망을 품지 않았다면, 어찌 예수님의 말씀 한마디에 모든 것을 버리고 따라나설 수 있었겠습니까? 하느님의 예언자라고 들어 알고 있던 분께서 죄인인 자신에게 “나를 따라라.” 하셨을 때, 지독히도 원망스러운 그 모든 과거를 온전히 용서받고 새 삶으로 초대받은 그 순간에, 마태오가 느꼈을 전율과 환희가 생생히 느껴집니다.
죄와 부덕함을 인정하며 하느님의 자비에 자신을 온전히 열었을 때, 탐욕과 억압의 장소인 세관이, 그리고 죄인들과 세리들의 식탁이 하느님의 은총이 베풀어지는 구원의 자리가 되었습니다. 주님과 죄인들을 탓하며 구원의 기쁨에서 스스로 멀어졌던 바리사이들이 아니라, ‘부르심받은 사람답게 겸손과 온유 그리고 인내와 사랑을 실천하면서’(제1독서 참조) 우리 모두 주님의 사랑받는 제자로 살아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