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7월 05일 수요일
[홍]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 신심 미사
• 『로마 미사 경본』: 신심 미사, 19-1.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 『미사 독서』 Ⅳ: 신심 미사, 19-1.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 순교자
한국인 최초의 사제로서 한국 성직자들의 수호자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는 1821년 충남 솔뫼에서 아버지 김제준 이냐시오와 어머니 고 우르술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본디 양반 가문이었으나, 천주교 신자라는 이유로 1801년 신유박해 때 몰락하였다.
김대건은 1836년 열여섯 살에 사제가 되고자 최양업 토마스, 최방제 프란치스코와 함께 마카오로 유학길을 떠났다. 1844년 부제품을 받은 다음, 선교 사제의 입국을 돕고자 잠시 귀국하였다가 다시 중국으로 건너갔다. 1845년 8월 17일 상하이의 진쟈상(金家巷) 성당에서 사제품을 받고 조선에 돌아온 김대건 신부는 서해 해로를 통한 선교 사제의 입국 통로를 개척하려다가, 1846년 6월에 체포되어 여러 차례 문초를 받고, 9월 16일 한강 새남터에서 순교하였다.
1949년 11월 25일 비오 12세 교황은 그를 한국에서 전교하는 모든 성직자의 수호자로 선포하였고,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은 1984년 5월 6일 서울에서 한국 순교자 103위를 시성하면서,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를 정하상 바오로와 함께 한국 교회의 대표 성인으로 세웠다.
한국 교회는 순교자 현양을 위하여 과거 대축일이었던 7월 5일에 성대하게 신심 미사를 드리기로 하였다(주교회의 2019년 추계 정기 총회).
입당송
본기도
제1독서
<너희는 성소와 제단 사이에서 즈카르야를 살해하였다(마태 23,35 참조).>24,18-22
화답송시편 31(30),3ㄷㄹ-4.6과 7ㄴ과 8ㄱ.17과 21ㄱㄴ(◎ 6ㄱ 참조)
제2독서
<우리는 환난도 자랑으로 여깁니다.>5,1-5
복음 환호송마태 5,10
복음
<너희는 나 때문에 총독들과 임금들 앞에 끌려가 그들과 다른 민족들에게 증언할 것이다.>10,17-22
예물 기도
감사송
<한국 고유 감사송 1 : 선조들의 신앙>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함이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아버지께서는 저희 선조들을 복음의 빛 안으로 불러 주시어
무수한 순교자들의 피로 교회를 세우시고 자라게 하셨으며
그들이 갖가지 빛나는 덕행을 갖추고
혹독한 형벌 속에서도 죽기까지 신앙을 지켜
마침내 아드님의 승리를 함께 누리게 하셨나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모든 천사와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저희도 땅에서 주님의 영광을 찬미하며 끝없이 노래하나이다.
영성체송 마태 16,24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사람들을 조심하여라. 그들이 너희를 의회에 넘기고 회당에서 채찍질할 것이다.” 제자들에게 하신 예수님의 이 말씀은 마치 예언처럼 들립니다. 실제로 예수님께서 세상을 떠나가신 다음에 제자들은 다양한 사람들에게 박해를 받았는데, 특별히 유다교의 종교 지도자들에게 잡혀가 신문을 받았습니다(사도 5,27; 6,12 참조). 사도행전은 이러한 제자들의 역경을 잘 보여 줍니다. 예수님 말씀처럼 제자들의 증언은 오히려 복음을 선포하는 계기가 되고, 복음은 온 지역으로 퍼져 나갑니다. 박해라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느님께서는 제자들을 통하여 당신의 업적을 이어 가신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이와 함께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을 위로하십니다. “걱정하지 마라.” “사실 말하는 이는 너희가 아니라 너희 안에서 말씀하시는 아버지의 영이시다.” 이는 한편으로 제자들이 박해를 받을 때에도 하느님께서 함께 계신다는 말씀이면서 그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업적이, 복음의 기쁜 소식이 전해진다는 것을 알려 줍니다. 여기에 쓰인 “너희 아버지의 영”은 신약 성경에서 오직 이곳에서만 쓰입니다. 영에 대한 표현 가운데 하느님 아버지와 이루는 관계에 초점을 맞춘 것입니다. 마태오 복음서에는 자주 하느님을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나 ‘너희 아버지’로 표현합니다. 유다교에서 하느님과 그분 백성의 관계는 이제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로 발전하고, 이는 그리스도인들을 나타내는 특징이 됩니다. 좋은 때든 나쁜 때든, 행복할 때든 불행할 때든, 하느님께서는 언제나 당신의 자녀들과 함께하십니다. 이것이 신앙인에게는 가장 큰 힘이자 위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