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04일 월요일
[백] 성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 기념일
가롤로 보로메오 성인은 1538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의 아로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신심 깊은 가정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그는 일찍부터 학문을 쌓는 데 힘썼다. 1560년 외삼촌인 비오 4세 교황께서 평신도인 그를 추기경으로 임명하시자, 뒤늦게 성직자 교육을 받고 1563년에 사제가 되었다. 그는 밀라노의 대주교로서 교회 개혁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또한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들을 지원하는 제도를 마련하여 널리 보급시켰다. 1584년에 선종한 그를 1610년 바오로 5세 교황께서 시성하셨다.
입당송 에제 34,11.23-24 참조
루카 12,42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제1독서
<하느님께서 모든 사람을 불순종 안에 가두신 것은 모든 사람에게 자비를 베푸시려는 것입니다.>11,29-36
화답송시편 69(68),30-31.33-34.36-37(◎ 14ㄷ 참조)
복음 환호송요한 8,31-32 참조
복음
<네 친구를 부르지 말고, 가난한 이들과 장애인들을 초대하여라.>14,12-14
예물 기도
영성체송 요한 15,16 참조
루카 12,36-37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제1독서에서 바오로 사도는 예수님을 거부한 이스라엘의 운명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께서 선택하신 백성을 버리지 않으실 것입니다. 사실, 그들이 불순종한 것은 하느님의 계획으로, 이방인들에게도 자비를 베푸시려는 것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방인들에게 자비가 주어지고 나면 그들에게 다시금 자비가 주어질 것입니다.
그렇게 그들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으로 나아갈 것입니다. 한 번 베푸신 하느님의 은사와 소명은 결코 철회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하여 그리스인이든 유다인이든 할 것 없이 모두가 하느님께 나아가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하느님의 뜻입니다.
오늘 복음에서 예수님께서는 식사를 베풀 때 친구나 형제나 친척이나 부유한 이웃을 부르지 말고, 가난한 이들, 장애인들, 다리저는 이들, 눈먼 이들을 초대하라고 권하십니다. 이 말씀은 친구, 형제, 친척, 부유한 이웃을 식탁에 앉게 하지 말라는 가르침이 아니라, 이웃의 경계를 자기와 가까운 사람으로 한정하지 말고, 더욱 넓히라는 초대의 말씀입니다.
자신에게 보상을 가져다주는 사람만 친구나 이웃으로 삼지 말고, 도움이 필요한 모든 이를 이웃으로 삼고 그들을 식탁에 초대하라는 말씀입니다. 특히, 우리가 아무것도 요구할 것이 없는 이들의 목소리에 먼저 귀 기울이고,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을 먼저 더 배려하고 보살피라는 말씀입니다. 약한 이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라는 가르침입니다. 그렇게 하는 이들만이 의인들이 부활할 때 보상을 받을 것입니다.
(염철호 요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