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6월 03일 수요일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성인들은 우간다의 순교자들이다. 우간다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지역에는 19세기 말에 그리스도교가 전파되었다. 왕궁에서 일하던 가롤로 르왕가는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은 뒤, 자신의 신앙을 떳떳하게 고백하며 궁전의 다른 동료들에게도 열성적으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를 박해하는 왕조가 들어서면서 배교를 강요받던 그와 스물한 명의 동료들은 끝까지 굽히지 않다가 1886년 6월에 순교하였다. 1964년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는 우간다 교회의 밑거름이 된 이들을 ‘우간다의 순교자들’이라고 부르시며 시성하셨다.
입당송 지혜 3,6-7.9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티모테오에게, 안수로 받은 하느님의 은사를 다시 불태우라고 한다(제1독서).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라고 예수님께서 말씀하신다(복음).
제1독서
<내 안수로 그대가 받은 하느님의 은사를 다시 불태우십시오.>1,1-3.6-12
화답송시편 123(122),1-2ㄱ.2ㄴㄷㄹ(◎ 1ㄴ 참조)
복음 환호송요한 11,25.26 참조
복음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12,18-27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116(114─115),15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어느 선배 신부님의 누이는 신체장애가 있는데, 신부님에게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고 합니다. “나는 하느님 나라에서 영원히 살게 된다는 말이 그다지 기쁘게 들리지가 않아. 현세에도 장애로 고통을 받는데 그것을 영원히 견뎌야 한다니 어찌 기쁠 수가 있겠니?” 이에 관하여 신부님은 바오로 사도의 말씀을 빌려 설명하였습니다. “죽은 이들의 부활도 이와 같습니다. 썩어 없어질 것으로 묻히지만 썩지 않는 것으로 되살아납니다. 비천한 것으로 묻히지만 영광스러운 것으로 되살아납니다. 약한 것으로 묻히지만 강한 것으로 되살아납니다. 물질적인 몸으로 묻히지만 영적인 몸으로 되살아납니다”(1코린 15,42-44ㄱ).
본디 부활이란 애벌레가 나비가 되듯이, 씨앗이 나무가 되듯이 현세적인 몸은 사라지고 새로운 차원의 몸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한 까닭에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나타나셨을 때, 마리아 막달레나도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도 예수님을 곧바로 알아볼 수가 없었습니다.
오늘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사람들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날 때에는,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이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아진다.” 우리가 부활하여 영광스러운 몸을 지니게 되면 지상에서 얽매이던 모든 것에서 자유로워지고, 하늘에 있는 천사들처럼 하느님 안에서 영원한 복락을 누리게 됩니다. 그러나 몸만 변화된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하느님 안에 있는 것을 기쁨으로 삼을 줄 모른다면, 하느님께서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시듯 ‘나의 하느님’이 되지 않으신다면, 아무리 천사와 같아진다 하여도 영원한 복락을 느낄 수 없을 것입니다.
(한재호 루카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