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8월 08일 토요일
[백] 성 도미니코 사제 기념일
도미니코 성인은 1170년 무렵 에스파냐 칼레루에가의 한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성덕을 쌓는 데 몰두하던 그는 사제가 되어 하느님 말씀을 열정적으로 설교하여 사람들을 회개의 길로 이끌었다. 그는 1206년 설교와 종교 교육을 주로 담당하는 설교자회(도미니코 수도회)를 세우고, 청빈한 삶과 설교로 복음의 진리를 철저히 탐구하도록 독려하였다. 성인은 1221년에 선종하였으며, 1234년 그레고리오 9세 교황께서 시성하셨다.
입당송 집회 15,5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주님께서는 하바쿡 예언자에게, 뻔뻔스러운 자의 정신은 바르지 않으나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고 하신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믿음이 없고 비뚤어진 세대를 한탄하시며 마귀 들린 아이를 고쳐 주신다(복음).
제1독서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1,12─2,4
화답송시편 9,8-9.10-11.12-13(◎ 11ㄱ)
복음 환호송2티모 1,10 참조
복음
<믿음이 있으면 너희가 못할 일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17,14ㄴ-20
예물 기도
영성체송 루카 12,4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지금 이 환시는 정해진 때를 기다린다. 끝을 향해 치닫는 이 환시는 거짓말하지 않는다. 늦어지는 듯하더라도 너는 기다려라. 그것은 오고야 만다,지체하지 않는다. …… 그러나 의인은 성실함으로 산다.”
오늘 독서에서 하바쿡 예언자는 민족의 고통을 자신의 것으로 삼아 하느님께 말씀드립니다. 비록 유다 왕국이 잘못하여 바빌로니아를 하느님의 도구로 삼으신 것을 인정하지만, 악인이 의인을 처벌해도 되는가 하는 문제로 번민하다 하느님께 따졌던 것입니다. 이에 하느님께서는 악을 행하는 자는 모두 스러질 것이며, 오직 의인들만이 ‘성실함’을 통하여 살게 되리라고 답하십니다.
이처럼 믿는 이의 삶에 근거가 되고 정당성을 부여하는 의인의 성실함은, 화답송의 시편 저자가 노래하듯 “당신을 찾는 이들을 버리지 않으시는” 하느님의 성실함에서 비롯됩니다. 이에 하느님께서는 하바쿡에게, 겉모습은 그렇지 않게 보여도 분명히 실재하는 당신의 성실함에 관한 환시를 주십니다. 따라서 믿는 이들은 정해진 때를 기다려야만 합니다. 늦어지는 듯하더라도 기다려야 합니다.
그런데도 기도의 응답을 기다리지 못하여 의인의 성실함 대신 존재의 가벼움을 드러낸 이들에게, 예수님께서는 아쉬움을 토로하십니다. “아, 믿음이 없고 비뚤어진 세대야! 내가 언제까지 너희와 함께 있어야 하느냐? 내가 언제까지 너희를 참아 주어야 한다는 말이냐?”
그렇습니다. 우리의 믿음은 기다리는 인내가 필요합니다. 인내는 성령의 열매 가운데 하나입니다(갈라 5,22 참조). 우리의 인내가 산을 옮길 수 있는 믿음으로 드러나도록 기다리시는 예수님의 인내가, 바로 의인의 성실함의 기준이 될 것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오늘 독서와 복음을 묵상하며 예수의 데레사 성녀의 기도가 절로 나옵니다.
“모든 것이 다 지나가지만, 하느님께서는 변치 않으시는 분, 인내가 모든 것을 얻게 하리니, 하느님을 가진 사람은 아무런 아쉬움 없고, 하느님만으로 넉넉하도다.”
(박기석 사도 요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