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08월 22일 토요일
[백]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
1900년 무렵부터 성모 마리아께 ‘여왕’의 영예가 주어져야 한다는 요청이 많았다. 1925년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이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정해지면서 이러한 요청은 더욱 늘어났다. 이에 따라 1954년 비오 12세 교황께서는 마리아께서 여왕이심을 선언하시고, 해마다 5월 31일에 그 축일을 지내도록 하셨다. 그 뒤 보편 전례력을 개정하면서 마리아를 천상 영광에 연결하고자 성모 승천 대축일 뒤로 옮겼으며, 축일 이름도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로 바꾸었다. 이날 교회는 성모 승천의 영광을 거듭 확인하며 복되신 동정 마리아께서 우리를 위한 구원의 도구가 되신 것을 기린다.
입당송 시편 45(44),10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에제키엘 예언자는 천사에게 이끌려 주님의 집으로 들어가 주님의 영광을 보고 주님의 말씀을 듣는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너희의 스승은 그리스도 한 분뿐이시라며,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주님의 영광이 주님의 집으로 들어갔다.>43,1-7ㄷ
화답송시편 85(84),9ㄱㄴㄷ과 10.11-12.13-14(◎ 10ㄴ 참조)
복음 환호송마태 23,9.10 참조
복음
<그들은 말만 하고 실행하지는 않는다.>23,1-12
예물 기도
감사송
<복되신 동정 마리아 감사송 1 : 어머니이신 마리아>영성체송 루카 1,45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예수님의 주요 호칭 가운데 하나가 ‘사람의 아들’입니다. 신약 성경에서 몇 번을 제외하고는 예수님께서 이 표현을 직접 쓰십니다. 사실 구약 성경에서도 ‘사람의 아들’이라는 표현이 나오지만 대부분은 인간 존재나 인류를 가리킵니다. 특히 에제키엘서나 다니엘서에서 ‘사람의 아들’은 하느님과 구별된 이로 ‘보통의 인간’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오늘 독서에서도 하느님께서는 에제키엘 예언자를 ‘사람의 아들’이라 부르십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이 호칭을 다른 의도로 당신께 사용하셨습니다. 이 호칭은 그분의 인성만이 아니라 지상에서 수행하신 메시아 사명을 통하여 드러난 존엄한 신성까지 모두 담고 있었습니다. 한편으로는 하느님과 같은 권능을 지니고 계시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버림받고 고통받고 십자가에 못 박히는 사람의 신분과 사명을 가지고 계심을 드러내는 호칭이었던 것입니다.
이처럼 하느님과 같음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지 않으시고 오히려 자신을 비우시어 사람이 되신 예수님께서는, 군중과 제자들에게 겸손한 섬김의 삶을 말씀하십니다. “너희 가운데에서 가장 높은 사람은 너희를 섬기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누구든지 자신을 높이는 이는 낮아지고 자신을 낮추는 이는 높아질 것이다.” 남들에게 보이려고 성구갑을 넓게 만들고 옷자락 술을 길게 늘이며, 잔칫집이나 회당에서 높은 자리에 앉아 사람들에게 인사받기만을 좋아하는 이는 ‘사람의 아들’이신 예수님을 통하여 ‘하느님의 자녀’(1요한 3,1 참조)가 될 수 없습니다. 하느님께 보통의 인간으로서 ‘사람의 아들’로 불린 에제키엘은 영광으로 가득 찬 하느님의 천상 어좌를 보았습니다. ‘사람의 아들’로서 신성과 인성을 모두 지니신 예수님의 명을 우리가 따른다면, 우리는 그 이상의 것을 얻게 될 것입니다.
(박기석 사도 요한 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