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2일 목요일
[녹] 연중 제29주간 목요일 또는
[백]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
입당송 시편 17(16),6.8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에페소 신자들에게 하느님의 온갖 충만하심으로 충만하게 되기를 빈다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세상에 불을 지르러 왔다고 하시며, 평화를 주러 온 것이 아니라 분열을 일으키러 왔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여러분이 사랑에 뿌리를 내리고 그것을 기초로 삼아 하느님의 온갖 충만하심으로 충만하게 되기를 빕니다.>3,14-21
화답송시편 33(32),1-2.4-5.11-12.18-19(◎ 5ㄴ 참조)
복음 환호송필리 3,8-9 참조
복음
<나는 평화를 주러 온 것이 아니라 분열을 일으키러 왔다.>12,49-53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33(32),18-19 참조
마르 10,45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이 세상에 평화를 주러 온 것이 아니다.”라는 예수님의 말씀은 언뜻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사실 그분께서는 사람들에게 몸소 평화를 베푸시고(루카 7,50 참조), 제자들에게는 평화의 인사를 하도록 지시하셨습니다(루카 10,5 참조). 무엇보다도 부활하셨을 때 제자들에게 하신 첫마디는 “평화가 너희와 함께!”(루카 24,36)였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오늘 예수님께서 하신 말씀은, 그분께서 ‘세상의 평화’를 주러 오신 것이 아니라는 뜻으로 알아들어야 합니다. 사실 그분의 평화는 많은 재산으로 말미암은 안락한 생활이나 전쟁의 승리로 누리게 되는 일시적인 평화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첫째, 예수님의 평화는 ‘불’을 통하여 드러납니다. 성경에서 불은 정화를 상징합니다. 따라서 예수님께서는 세상에 불을 지르시어 그 안에 있는 온갖 죄악을 태우심으로써 평화를 주십니다. 둘째, 예수님의 평화는 ‘예수님의 세례’를 통하여 드러납니다. 세례란 본디 옛 삶이 죽고, 새로운 삶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예수님께서는 십자가에서 돌아가시고 부활하심으로써 평화를 주십니다. 셋째, 평화는 분열을 통하여 옵니다. 여기서 말하는 분열은 혈연, 학연, 지연 등의 모든 관계 가운데에서 하느님과의 관계를 우선으로 삼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예수님께서는, 우리가 하느님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다른 이들을 사랑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하심으로써 평화를 주십니다.
세상이 주는 평화에 익숙해진 이들이 그리스도의 참평화를 얻으려면 많은 어려움이 따를 것입니다. 오늘 복음 말씀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참평화를 누리기 위한 다짐은 어떠해야 할지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