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06월 02일 수요일
[녹] 연중 제9주간 수요일 또는
[홍] 성 마르첼리노와 성 베드로 순교자
입당송 시편 25(24),16.18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토빗이 하느님께 탄식하며 기도하는 날, 엑바타나에 사는 라구엘의 딸 사라도 기도를 올리는데, 라파엘이 이 두 사람을 고쳐 주도록 파견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이 죽은 이들 가운데에서 다시 살아날 때에는 장가드는 일도 시집가는 일도 없이 천사들과 같아진다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두 사람의 기도가 영광스러운 하느님 앞에 다다랐다.>3,1-11ㄱ.16-17ㄱ
화답송시편 25(24),2-3.4-5ㄱㄴ.6과 7ㄴㄷ.8-9(◎ 1)
복음 환호송요한 11,25.26 참조
복음
<하느님께서는 죽은 이들의 하느님이 아니라 산 이들의 하느님이시다.>12,18-27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17(16),6
마르 11,23.24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 예수님께서 우리에게 알려 주신 하느님의 이름입니다. 이 이름이 우리에게 전하는 의미는 하느님께서 살아 계신 하느님이시라는 사실입니다. 예수님을 만난 사두가이들도 하느님을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 이름에서 시작된 하느님을 향한 신앙을 그들도 지니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그 이름이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 전달되었는지, 또 성경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알고 있었지만, 그 이름이 지닌 본질에는 머물지 못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그들의 잘못된 출발점 때문이었습니다. 그래서 마르코 복음사가는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들”(마르 12,18)이라고 명확하게 언급합니다.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그들에게 하느님께서는 살아 계신 하느님이 아니라, 성경책에 기록된 죽은 하느님이 되고 맙니다. 그들은 하느님에 관하여 이야기할 수는 있었지만, 살아 계신 하느님을 체험하지는 못하였습니다. 그렇게 그들은 살아 계신 하느님을 믿고 고백하는 신앙인이 아닌, 자신들의 신념으로 살아가는 사상가로 전락하고 말았습니다.
“아브라함의 하느님, 이사악의 하느님, 야곱의 하느님”이라고 우리도 고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살아 계신 하느님을 체험하지 못한다면 우리도 “부활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두가이들”과 같은 사람으로 남을 것입니다. 우리는 하느님을 어떻게 체험하고 만나고 있습니까? 하느님을 성경 속 등장 인물로만 생각하지는 않았는지요? 또는 전례 안에서만 찾으려고 하지 않았는지요? 기도할 때만 하느님을 찾지는 않았는지요? 하느님은 성경 속이나 전례 안에서만, 또는 기도할 때만 계시는 그런 분이 아니십니다. 하느님께서는 우리의 일상 가운데, 우리와 함께하시는 “살아 계신 하느님”이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