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06월 04일 금요일
[녹] 연중 제9주간 금요일
입당송 시편 25(24),16.18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토비야가 구해 온 약으로 눈을 뜬 토빗은, 하느님을 찬미하는 기도를 바치고, 며느리인 사라를 축복하며 맞아들인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이라고 하는 이들에게, 다윗 스스로 메시아를 주님이라고 말하는데, 어떻게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이 되느냐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하느님께서 나에게 벌을 내리셨지만 내가 이제는 내 아들을 볼 수 있게 되었다.>11,5-17
화답송시편 146(145),1ㄴ-2.6ㄷ-7.8-9ㄱ.9ㄴㄷ-10ㄱㄴ(◎ 1ㄴ)
복음 환호송요한 14,23 참조
복음
<어찌하여 메시아가 다윗의 자손이라고 말하느냐?>12,35-37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17(16),6
마르 11,23.24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6월을 시작하면서 우리는 제1독서 말씀으로 토빗기를 만납니다. 토빗기의 중요한 신학은 주님의 가르침에 충실한 삶은 반드시 하느님의 보상을 받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자선을 베풀고 기도에 충실한 삶을 살아야 함을 우리에게 알려 줍니다. 내가 원하고 내가 편할 때 선택적으로 하느님을 섬기는 것이 아니라, 한결같은 모습으로 하느님을 섬겨야 하고, 주님의 가르침을 따라야 함을 알려 줍니다. 어려움과 역경 속에서도 하느님을 신뢰하고 따른다면, 복을 받고 보상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동시에 토빗기는 하느님의 뜻을 따르기가 쉽지 않은 일이라는 사실도 알려 줍니다. 하느님의 뜻을 따르겠다는 선택이 가져올 수 있는 불편함과 어려움 또한 전해 주기 때문입니다. 오늘 우리가 독서에서 만나는 장면은 역경 속에서도 하느님께 의지하며 살아간 토빗이 다시 보상을 받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성경은 이처럼 우리보다 먼저 하느님을 알고 믿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토빗이 살던 시절에 하느님을 알았던 사람은 토빗과 그의 아들 토비야만이 아니었습니다. 수많은 사람이 하느님을 주님이라고 고백하며 살아갔지만, 그 고백을 삶으로 실천한 사람은 많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하느님을 향한 믿음을 바탕으로, 자신 앞에 다가오는 시련과 어려움 속에서도 주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면서 살아가기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주님의 가르침이 우리 마음 한 편에 자리 잡고 있지만, 동시에 주님의 가르침을 따르면 이익이나 성공보다 손해를 입는다는 마음의 가난함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그 부족함을, 가난함을 인정하면서 주님을 잊지 않는다면, 우리의 믿음도 토빗과 토비야의 여정을 닮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