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06월 16일 수요일
[녹] 연중 제11주간 수요일
입당송 시편 27(26),7.9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구제 활동을 할 때 마지못해 하거나 억지로 해서는 안 된다며,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신다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그들 앞에서 의로운 일을 하지 않도록 조심하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하느님께서는 기쁘게 주는 이를 사랑하십니다.>9,6ㄴ-11
화답송시편 112(111),1ㄴㄷ-2.3-4.9(◎ 1ㄴ)
복음 환호송요한 14,23 참조
복음
<숨은 일도 보시는 네 아버지께서 너에게 갚아 주실 것이다.>6,1-6.16-18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27(26),4
요한 17,11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려고 하는 의로움은 의로움이 아니며, 사람들에게 칭찬을 받고자 행하는 자선은 자선이 아닐까요? 누구나 다 알아볼 수 있게 자선을 베푼다면, 그것은 거짓된 자선일까요? 사람들에게 드러내 보이려고 하는 기도는 기도가 아니며, 단식을 알리면서 하는 단식은 헛된 단식일까요? 이것도 의로움이며 자선이고, 기도이며 단식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눈에 보이게 행한다고 하여 그 의로움이, 자선이, 기도가, 단식이 아니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는 이러한 행위의 정의가 아닌, 그 행위를 통하여 얻는 상의 질을 말씀하고 계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에게 ‘받은 상’과 아버지에게 ‘받을 상’의 차이를 알려 주십니다. 사람들에게 ‘받은 상’은 현재적이고 즉각적입니다. 의로움을 행하였을 때, 사람들의 반응이 바로 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바로바로 보람을 느끼고 기분도 좋아집니다. 그러나 아버지에게 ‘받을 상’은 어떤가요? 그 상은 현재가 아닌, 나중을 위한 상입니다. 사람들이 알아 주지 않습니다. 마음은 뿌듯할 수 있지만, 내 행위가 인정받지 못한다는 아쉬움도 들 수 있습니다. 좋은 일, 착한 일을 하고 오해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아버지에게 ‘받을 상’보다 사람들에게 ‘받은 상’이 더 좋아 보입니다. 그것이 솔직한 우리들의 마음이지요.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아버지에게 ‘받을 상’이 더 좋은 상이라고 알려 주십니다. 그 말씀을 마음에 새겨봅시다.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로 여겨지고 빠르고 즉각적인 것을 추구하는 세상에서, 그래도 한 번쯤은 예수님 때문에 세상의 가치를 거스르며, 보이지 않는 아버지를 생각하고 아버지에게 ‘받을 좋은 상’을 생각해 보면 어떨까요? 나를 보는 사람이 아니라 숨어서 나를 바라보아 주시는 아버지를 우리가 함께 바라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