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1월 09일 일요일
[백] 주님 세례 축일
오늘 전례
▦ 오늘은 주님 세례 축일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요르단강에서 세례를 받으신 예수님께 성령을 내리시고, 하느님의 아들로 선포하십니다. 물과 성령으로 세례를 받아 하느님의 자녀가 된 우리도 만민의 주님께서 전해 주신 평화의 복음을 전하기로 다짐합시다.
입당송 마태 3,16-17 참조
본기도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겉모습만이 아니라 내면에서도 저희가 그분을 닮아 새로워지게 하소서.
성자께서는 성부와 성령과 함께 천주로서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나이다.
말씀의 초대
이사야 예언자는 “여기에 나의 종이 있다. 그는 내 마음에 드는 이다.”라는 주님의 말씀을 전한다(제1독서). 베드로 사도는, 하느님께서 나자렛 예수님께 성령과 힘을 부어 주셨다고 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시고 기도를 하시는데, 성령께서 내리시고,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라는 소리가 하늘에서 들려온다(복음).
제1독서
<여기에 나의 종이 있다. 그는 내 마음에 드는 이다.>42,1-4.6-7
40,1-5.9-11
화답송시편 29(28),1ㄱ과 2.3ㄱㄷ과 4.3ㄴ과 9ㄷ-10(◎ 11ㄴ)
제2독서
<하느님께서 예수님께 성령을 부어 주셨습니다.>10,34-38
2,11-14; 3,4-7
복음 환호송마르 9,7 참조
복음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시고 기도를 하시는데, 하늘이 열렸다.>3,15-16.21-22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삼위일체이신 주님, 세례성사로 새로 난 주님의 자녀들을 강복하시어, 교회가 세상에 나아가 삼위일체이신 주님의 이름으로 구원의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소서.
2. 정치인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인도자이신 주님, 정치인들의 마음을 주님의 사랑으로 굽어살피시어, 상대를 존중하며 소통하게 하시고, 나라와 국민을 위한 일에 온 힘을 다하도록 이끌어 주소서.
3. 예비 신자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구원자이신 주님, 주님을 알고 주님의 뜻대로 살아가고자 교회를 찾은 예비 신자들을 돌보아 주시어, 주님의 자녀로 새로 태어나는 기쁨을 누리게 하소서.
4. 가정 공동체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보호자이신 주님, 종교와 신앙 활동 때문에 갈등을 겪는 부부들에게 지혜의 은총을 주시고, 모든 가정의 구성원이 서로 존중하며 진심 어린 대화를 나눔으로써 참사랑을 누리게 하소서.
예물 기도
감사송
<주님의 축일과 신비 감사송 3 : 주님 세례(주님 세례 축일)>영성체송 요한 1,32.34 참조
영성체 후 묵상
▦ 베드로 사도가 말한 대로 우리는 “하느님께서 나자렛 출신 예수님께 성령과 힘을 부어 주신 일도 알고 있습니다.” 세례를 받아 새로 태어난 하느님의 자녀답게 살아갑시다.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차별하지 않으시고, 어떤 민족에서건 당신을 경외하며 의로운 일을 하는 사람은 다 받아 주십니다.”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교회는 오늘 주님 세례 축일을 지내며 성탄 시기를 마무리합니다. 이 축일은 세례자 요한에게 받으신 예수님의 세례(마태 3,13-17; 마르 1,9-11; 루카 3,21-22 참조)를 기념하고, 우리가 받은 세례의 의미를 묵상하게 합니다.
세례의 표지인 ‘물’의 중요한 역할은 ‘정화’입니다. 손이 더러워지면 물로 씻듯이, 잘못을 저지르고 죄를 지을 때마다, 회개를 통하여 우리 자신을 깨끗하게 해야 합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죄가 없으신 참하느님이신데, 왜 세례를 받으셨을까요? 아무 죄가 없으신 “예수님께서도” 세례를 받으신 것은 죄인인 우리와 함께하시려고,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시려고, 곧 우리와 같아지시려는(필리 2,6-7 참조) 이유가 아니었을까요?
루카 복음은 예수님께서 세례 받으신 바로 다음 장면을 전합니다. “하늘이 열리며 성령께서 비둘기 같은 형체로 그분 위에 내리시고, 하늘에서 소리가 들려왔다. ‘너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이다.’” 성령의 내리심은 세례자 요한의 증언을 떠올립니다. “나는 너희에게 물로 세례를 준다. …… 그분께서는 너희에게 성령과 불로 세례를 주실 것이다.” 요한의 세례가 죄의 회개를 위한 물의 세례였다면, 예수님의 세례는 죄의 용서를 위한 성령과 불의 세례입니다. 오늘 제1독서가 전하는 하느님 말씀이 예수님의 세례에서도 울려 퍼집니다. 이 말씀은 예수님께서 약속된 그리스도이심을 드러내는 하느님의 보증입니다.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예수님께서는 ‘기도’와 ‘성령’의 힘으로 공생활을 시작하십니다. 그분께서는 제2독서의 증언처럼 “갈릴래아에서 시작하여 온 유다 지방에 걸쳐” “두루 다니시며 좋은 일을 하시고 악마에게 짓눌리는 이들을 모두 고쳐 주셨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자신의 생명을 바치는 가장 큰 사랑을 보여 주셨습니다.
예수님의 세례는 우리가 받은 세례의 근원입니다. 그래서 예수님의 세례는 세례 받은 우리를 그분께서 걸으신 복음 선포의 길로 초대합니다. 세례를 받은 우리에게 다른 길은 없습니다. 오직 예수님께서 가신 길이 있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