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9월 13일 화요일
[백]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 학자 기념일
요한 크리소스토모 성인은 349년 무렵 시리아의 안티오키아(현재 튀르키예의 안타키아)에서 태어나 어머니의 독실한 신앙을 물려받았다. 수도자들과 함께 엄격한 수덕 생활을 하던 그는 은수자를 본받아 광야에서 기도와 고행을 하며 자선과 저술 활동에 전념하다가 386년 사제품을 받고, 주로 안티오키아에서 사목하며 설교자로 활동하였다. 그는 397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주교로 임명되어, 성직자와 신자들의 생활을 올바르게 개혁하는 데 힘써 좋은 목자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황궁에서 증오를 품고 시기하는 자들에게 밀려나 한두 차례 유배 생활을 하였다. 고통에 짓눌린 채, 407년 9월 14일 (튀르키예) 폰투스의 코마나에서 세상을 떠났다. 가톨릭 교리를 해설하고 그리스도인 생활의 실천을 독려하는 많은 설교와 저술들로 말미암아, ‘크리소스토모’(금구, 金口: 황금의 입)라는 이름으로 불려 왔다.
입당송 다니 12,3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우리가 모두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라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나인이라는 고을에서 과부를 보시고 가엾은 마음이 드시어 그의 죽은 외아들을 되살리신다(복음).
제1독서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입니다.>12,12-14.27-31ㄱ
화답송시편 100(99),1-2.3.4.5(◎ 3ㄷ 참조)
복음 환호송루카 7,16
복음
<젊은이야, 내가 너에게 말한다. 일어나라.>7,11-17
예물 기도
영성체송 1코린 1,23-24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구약 시대에도 죽었다가 살아난 이들이 있었습니다. 예를 들면, 엘리야가 되살린 사렙타 과부의 아들(1열왕 17,17-24 참조), 엘리사가 되살린 수넴 여자의 아들(2열왕 4,18-37 참조), 엘리사의 유해에 닿아 되살아난 주검(2열왕 13,20-21 참조) 등이 있는데, 이들은 잠시 ‘소생’하였다가 때가 되면 다시 죽을 이들이었습니다. 이러한 ‘소생’은 그리스도의 ‘부활’에 견줄 바 못 되지만, 분명 죽은 이를 다시 살린 이 행적은 하느님의 권능과 영광을 드러내는 강력한 표징이었습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남편이나 장성한 아들 같은 법적 보호자가 없는 과부는 으레 고아나 이방인처럼 절대 빈곤 계층으로 전락하기 일쑤였습니다. 나인에서 예수님께서는 삶의 유일한 의미인 외아들을 잃고 상여를 따르며 슬피 우는 과부를 가엾이 여기셨고, 아들을 되살려 어머니에게 돌려주셨습니다. 다른 기적들과 달리 당신께 신앙 고백이나 간절한 청원을 드리는 이도 없었고, 더구나 관에 손을 대실 때에는 주검과 접촉하는 것을 심각한 부정으로 여기는 율법마저(민수 19,11-19 참조) 거스르셔야 하였는데도 말입니다. 이 기적은 주님께서, 죽음이 삼켜 버린 지독한 고통 속에 ‘주님, 살려 주십시오. 자비를 베풀어 주십시오.’ 하고 외칠 기력조차 없는 이를 그 누구보다 가엾이 여기시는 분이심을, 서둘러 다가가 그를 생명과 구원으로 채워 주시는 자비로우신 분이심을 여실히 보여 줍니다.
한 분 성령 안에서 세례를 받아 한 몸을 이루는 우리는 모두 그리스도의 소중한 지체입니다(제1독서 참조). 어쩌다 삶에서 생기를 잃고 잠시 어둠을 겪고 있다면, “젊은이야, 일어나라!” 하고 명하시는 그분의 손을 잡고 힘차게 일어나 다시 생명의 길을 걸어갑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