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9월 18일 일요일
[홍]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 - 경축 이동
우리나라는 18세기 말 이벽을 중심으로 한 몇몇 실학자들의 학문적 연구로 그리스도교 신앙을 받아들였다. 이들 가운데 이승훈이 1784년 북경에서 ‘베드로’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돌아와 신앙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마침내 한국 천주교회가 탄생하였다. 선교사의 선교로 시작된 외국 교회에 견주면 매우 특이한 일이다. 그러나 당시의 조선은 충효를 중시하던 유교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어, 그리스도교와 크게 충돌하였다. 그 결과 조상 제사에 대한 교회의 반대 등으로 박해가 시작되었다. 신해 박해(1791년)를 시작으로 병인박해(1866년)에 이르기까지 일만여 명이 순교하였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는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의 해인 1984년 우리나라를 방문하시어 이 순교자들 가운데 한국인 최초의 사제인 김대건 안드레아와 평신도인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하여 103명을 시성하셨다. 이에 따라 그동안 9월 26일에 지냈던 ‘한국 순교 복자 대축일’을 9월 20일로 옮겨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로 지내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는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를 중심으로 순교자들의 시복 시성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오늘 전례
▦ 오늘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입니다. 자랑스러운 신앙 선조들을 기리며, 순교자들의 피로 우리를 복음의 빛 안으로 불러 주신 주님께 감사드립시다. 그리고 신앙 선조들의 순교 신앙을 본받아, 저마다 자기 십자가를 지고 주님을 따르기로 다짐합시다.
입당송
본기도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말씀의 초대
지혜서의 저자는, 의인들의 영혼은 하느님의 손안에 있어 어떠한 고통도 겪지 않는다고 한다(제1독서). 바오로 사도는 하느님께서 우리 편이신데 누가 우리를 대적하겠느냐며, 세상 어떠한 것도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다고 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당신 때문에 목숨을 잃는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라고 하신다(복음).
제1독서
<하느님께서는 번제물처럼 그들을 받아들이셨다.>3,1-9
화답송시편 126(125),1-2ㄱㄴ.2ㄷㄹ-3.4-5.6(◎ 5)
제2독서
<죽음도, 삶도 하느님의 사랑에서 우리를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8,31ㄴ-39
복음 환호송1베드 4,14 참조
복음
<나 때문에 자기 목숨을 잃는 그 사람은 목숨을 구할 것이다.>9,23-26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순교자들의 주님, 주님의 교회를 거룩한 순교 정신으로 이끌어 주시어, 어떠한 환난과 역경과 박해를 겪더라도 주님곁을 떠나지 않으며, 굳센 믿음으로 온전히 복음을 전하고 실천하게 하소서.
2. 우리나라의 순교자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자비하신 주님, 스스로 이 땅에 신앙을 들여와 주님 말씀과 가르침을 따랐던 한국 교회의 순교자들을 굽어살피시어, 박해의 칼날 앞에서도 당당히 신앙을 증언한 그들이 세계 교회에서 기억될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3. 예비 신자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영원한 목자이신 주님, 어려운 시기에도 주님의 자녀가 되도록 교회로 불러 주신 예비 신자들을 보살펴 주시어, 그들이 진리에 대한 믿음과 배움의 열정으로 세례를 받고 영원한 생명을 누릴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4. 우리 자신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빛이신 주님, 주님의 자녀로서 최선을 다하는 저희를 도와주시어, 성인들의 이야기를 가까이 하고 깨치며 본보기로 삼아 자신의 삶과 신앙 안에서 실천하게 하소서.
예물 기도
감사송
<한국 고유 감사송 1 : 선조들의 신앙>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언제나 어디서나 아버지께 감사함이
참으로 마땅하고 옳은 일이며 저희 도리요 구원의 길이옵니다.
아버지께서는 저희 선조들을 복음의 빛 안으로 불러 주시어
무수한 순교자들의 피로 교회를 세우시고 자라게 하셨으며
그들이 갖가지 빛나는 덕행을 갖추고
혹독한 형벌 속에서도 죽기까지 신앙을 지켜
마침내 아드님의 승리를 함께 누리게 하셨나이다.
그러므로 하늘의 모든 천사와 한국 순교자들과 함께
저희도 땅에서 주님의 영광을 찬미하며 끝없이 노래하나이다.
영성체송 마태 10,3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 “어리석은 자들의 눈에는 의인들이 죽은 것처럼 보이고, 그들의 말로가 고난으로 생각되며, 우리에게서 떠나는 것이 파멸로 여겨지지만, 그들은 평화를 누리고 있다.” 영원한 참평화를 누리고 계신 우리 순교자들에게서 불사의 희망을 배웁시다.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날마다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 이는 주님께서 수난과 부활에 대한 첫째 예고(루카 9,22 참조) 바로 다음에 하신 말씀으로, 문맥상 그분께서 지고 따르라 하신 십자가는 ‘고된 일상’ 정도가 아니라 ‘박해와 죽음’에 직접 연결된 것입니다. 그런 처절한 신앙이 내게도 가능할까 싶지만,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를 비롯한 일만여 명의 순교자들은 모두 우리보다 앞서 수난과 죽음의 십자가를 짊어졌던 이들입니다. 제1독서인 지혜서는 이러한 의인들이 고난과 죽음을 통하여 하느님의 단련을 받았고, 이제는 하느님의 사랑 안에 영원한 삶을 누리고 있다고 증언합니다.
영원한 복락을 간절히 바라면서도, 가끔은 무덤덤한 신앙생활을 이어 가는 자신에게 실망하는 일도 있겠지요. 그럴 때면, 믿음은 내가 노력해서 일정 선에 이르는 그 무엇이 아니라 ‘하느님께서 주시는 은총의 선물’임을 기억하며, 그분께 믿음을 주십사 더 청해야 합니다. “저는 믿습니다. 믿음이 없는 저를 도와주십시오”(마르 9,24). 우리가 온갖 결핍과 환난을 이겨 내고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 안에 머무를 수 있다면, 그것은 오직 하느님의 도우심으로 가능한 일이기 때문입니다(제2독서 참조).
오직 하느님만 바랐고 그분 안에서 영원히 살리라는 희망을 가슴에 품었기에, 날마다 되풀이되는 가난과 죽음의 위협을 기꺼이 받아들였던 순교 성인들을 떠올려 봅니다. 며칠씩 걸어가 미사를 드릴 사제를 모셔 오고, 깊은 산골에 숨어 화전을 일구고 숯을 구워 팔아 겨우 끼니를 이어 가면서도, 척박한 일상이지만 기쁨을 찾고 불멸의 영광을 준비하던 순교 성인들의 복된 하루가 바로 지금 우리의 오늘이 되기를 간절히 희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