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15일 토요일
[백] 예수의 성녀 데레사 동정 학자 기념일
‘아빌라의 데레사’로 알려진 예수의 데레사 성녀는 1515년 에스파냐의 아빌라에서 태어났다. 그는 가르멜 수도회에 들어가 평생을 완덕의 길에 정진하여 신비적 계시를 받았다. 그는 수도회의 발전을 위한 개혁을 추진하면서 많은 어려움에 맞닥뜨렸으나 그때마다 주님께 의지하여 곤경을 이겨 나갔다. 수도 생활과 영성 생활에 관한 많은 저서를 남기고, 1582년에 세상을 떠났다. 1622년 그레고리오 15세 교황께서 그를 시성하셨고, 1970년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 ‘교회 학자’로 선포하셨다.
입당송 시편 42(41),2-3
본기도
제1독서
<하느님께서는 만물 위에 계신 그리스도를 그분의 몸인 교회에 머리로 주셨습니다.>1,15-23
화답송시편 8,2와 3ㄷㄹ.4-5.6-7ㄱ(◎ 7ㄱ 참조)
복음 환호송요한 15,26.27 참조
복음
<너희가 해야 할 말을 성령께서 그때에 알려 주실 것이다.>12,8-12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89(88),2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의 분위기를 보면, ‘사람들 앞에서’ 또는 ‘회당이나 관청이나 관아에서’ 예수님을 당당하게 증언하거나 자신의 신앙을 고백해야 하는 상황을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초대 그리스도인들이 겪었던 박해 상황을 투영하는 단락이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생사의 기로에서 순교가 아니면 배교를 선택해야 하였습니다.
“사람들 앞에서 나를 모른다고 하는 자는, 사람의 아들도 하느님의 천사들 앞에서 그를 모른다고 할 것이다.” 이 말씀과 일맥상통하는 또 다른 구절을 기억합니다. “누구든지 나와 내 말을 부끄럽게 여기면, 사람의 아들도 자기의 영광과 아버지와 거룩한 천사들의 영광에 싸여 올 때에 그를 부끄럽게 여길 것이다”(루카 9,26).
예수님께서는 현재의 생사 문제를 넘어서는 종말론적 시각을 지니도록 촉구하십니다. 제자들이 현세에서 예수님을 어떻게 대하느냐에 따라, 세상 끝 날에 예수님께서 그들을 어떻게 대하실지가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어제 복음은 ‘육신은 죽여도 그 이상 아무것도 못하는 자’와 ‘육신을 죽인 다음 지옥에 던지는 권한을 가지신 분’을 대조하면서, 누구를 더 두려워해야 하는지 가르쳐 주었습니다. 눈앞의 공포와 두려움 때문에 예수님을 모른다고 하거나 그분을 부끄럽게 여기면, 종말에 있을 심판에 더 큰 공포와 두려움을 맞게 됩니다. 예수님께서 당신 제자를 모른다고 하시거나 부끄러워하시는 것만큼 두려운 일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행히도 우리는 박해 때문에 생사의 갈림길에 설 일도, 배교를 강요당하는 처지에 놓일 일도 없습니다. 그러나 일상 가운데 사람들 앞에서 우리의 신앙을 드러내야 할 경우가 때때로 생깁니다. 혹시 사람들의 눈치 때문에 자신의 정체를 밝히기를 부끄러워할 때가 있지는 않습니까? 그러한 상황에 놓일 때 어떠한 태도를 취하는지 스스로 돌아보았으면 합니다. 우리가 그분을 부끄러워하면 그분께서도 우리를 부끄러워하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