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20일 일요일
[백]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 (성서 주간)
전례력으로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인 오늘은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이다. 축일명대로, 인간을 구원하러 오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왕(임금)이심을 기리는 날이다. 예수님께서는 정치권력을 장악하여 백성을 억누르는 임금이 아니라, 당신의 목숨까지도 희생하시며 백성을 섬기시는 메시아의 모습을 실현하셨다. 스스로 낮추심으로써 높아지신 것이다. 1925년 비오 11세 교황께서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일을 ‘그리스도왕 대축일’로 정하셨다.
한국 천주교회는 1985년부터 해마다 연중 시기의 마지막 주간(올해는 오늘부터 11월 30일까지)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신자들이 일상생활 가운데 성경을 더욱 가까이하고 자주 읽으며 묵상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하느님 말씀은 그리스도인 생활의 등불이기 때문이다.
오늘 전례
오늘은 연중 마지막 주일로,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입니다. 하늘과 땅의 모든 권한을 받으신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왕이심을 기리는 날입니다. 그분의 다스림은 절대 권력의 행사가 아니라 바로 인간의 구원을 위하여 이웃을 섬기는 일입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를 왕으로 세우시고 그분의 십자가를 통하여 만물을 화해시켜 우리가 하늘 나라에서 당신의 영광을 누릴 수 있게 하십니다.
입당송 묵시 5,12; 1,6 참조
본기도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제1독서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임금으로 세웠다.>5,1-3
화답송시편 122(121),1-2.4-5(◎ 1 참조)
제2독서
<아버지께서는 우리를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나라로 옮겨 주셨습니다.>1,12-20
복음 환호송마르 11,9.10 참조
복음
<주님, 주님의 나라에 들어가실 때 저를 기억해 주십시오.>23,35ㄴ-43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만왕의 주님, 연중 시기 마지막 주간을 맞이한 교회를 이끌어 주시어, 주님을 찬미하고, 모든 민족들에게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전하게 하소서.
2. 정치인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통치자이신 주님, 정치인들에게 정의와 지혜의 은총을 주시어, 살기 좋은 나라와 국민의 행복을 위하여 힘쓰게 하시며, 공동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실현해 나가게 하소서.
3. 난민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자비하신 주님, 전쟁과 재난, 인종과 종교의 문제 등으로 조국에 살지 못하고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난민들의 어려운 삶을 굽어보시어, 지구촌 나라들의 관심과 형제애로 그들이 새 희망을 얻게 하소서.
4. 본당 사도직 단체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생명의 말씀이신 주님, 연중 시기를 마무리하며 성서 주간을 지내는 본당 사도직 단체들을 굽어보시어, 언제나 주님 말씀을 묵상하며 그 안에서 힘을 얻고 주님을 찬미하게 하소서.
예물 기도
감사송
<주님의 축일과 신비 감사송 8 : 온 누리의 임금이신 그리스도>영성체송 시편 29(28),10-11
영성체 후 묵상
“아버지께서는 우리를 어둠의 권세에서 구해 내시어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나라로 옮겨 주셨습니다. 이 아드님 안에서 우리는 속량을, 곧 죄의 용서를 받습니다.” 십자가의 피를 통하여 평화를 이룩하신 주님께 청합시다. “예수님, 선생님의 나라에 들어가실 때 저를 기억해 주십시오.”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오늘은 온 누리의 임금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왕 대축일입니다. 전례력의 마지막 주일에 한 해 동안 걸어온 여정을 돌아보며, 성찰에 필요한 실마리를 성경 말씀에서 찾습니다.
제1독서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가 다윗을 임금으로 세우는 이야기입니다.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을 당신 백성으로 선택하셨고, 이제 다윗에게 영원한 왕권을 주시며 그를 지켜 주실 것입니다. 한편 제2독서의 내용은 예수님에 대한 초대 교회의 신앙 고백입니다. 성부께서 “우리를 어둠의 권세에서 구해 내시어 당신께서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나라로 옮겨 주셨”기에, 성자 “안에서 우리는 속량을, 곧 죄의 용서를 받습니다.” 만물은 그분 안에서, 그분을 통하여 또 그분을 향해서 창조되었으며, 만물은 그분 안에서 존속합니다. 그리하여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 온갖 충만함이 머무르게 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복음은 예수님을 메시아 왕으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빈정대는 유다교 지도자들의 모습과, 그분과 함께 십자가에 달린 두 죄수의 모습을 묘사합니다. 예수님 곁에서 십자가에 함께 매달린 죄수 하나는 “당신은 메시아가 아니시오? 당신 자신과 우리를 구원해 보시오.”라며 그분을 모독하지만, 다른 이는 “예수님, 선생님의 나라에 들어가실 때 저를 기억해 주십시오.”라고 청합니다.
예수님께서는 하느님께서 약속하신 다윗의 후손, 메시아 임금이십니다. 그러나 그분께서는 무력과 권력으로 세상을 통치하지 않으시고, 하느님의 뜻에 따라 만물을 화해시키시는 분이십니다. 올 한 해 동안 우리는 예수님을 어떻게 생각하였습니까? 우리는 예수님과 어떤 관계를 맺었습니까? 우리는 예수님 안에서 이웃과 화해하였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