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7월 11일 화요일
[백] 성 베네딕토 아빠스 기념일
‘서방 수도 생활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베네딕토 성인은 480년 무렵 이탈리아 움브리아의 누르시아에서 태어났다. 로마에서 학업을 마친 그는 수도 생활에 대한 관심으로 수비아코에서 삼 년 동안 고행과 기도의 은수 생활을 하였다. 그의 성덕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이 모여들자 베네딕토는 마침내 수도원을 세우고 『수도 규칙』을 썼다. 이 규칙이 널리 전파되어 ‘서방 수도회의 시조’라고 불리게 되었다. 성인은 547년 무렵 몬테카시노에서 선종하였다고 전해지며, 8세기 말부터 여러 지방에서 7월 11일에 그를 기념하며 공경해 왔다. 1964년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 그를 유럽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셨다.
입당송
본기도
제1독서
<네가 하느님과 겨루어 이겼으니, 너의 이름은 이스라엘이라 불릴 것이다.>32,23-33
화답송시편 17(16),1.2-3.6-7.8과 15(◎ 15ㄱ 참조)
복음 환호송요한 10,14 참조
복음
<수확할 것은 많은데 일꾼은 적다.>9,32-38
예물 기도
영성체송 루카 12,4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예수님의 구마나 기적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 경우 사건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사람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의미를 전달합니다. 오늘 복음도 그 대표적 예입니다. 예수님을 만나게 되는 주인공은 마귀 들려 말못하는 사람입니다. 예수님께서 문제를 해결하여 주십니다. 그러자 그가 다시 말을 하게 됩니다. 이 사건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은 여러 갈래입니다. 군중은 “이런 일은 이스라엘에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하고 놀라워합니다. 마귀를 쫓아낸 데에 대한 반응이라기보다 예수님께서 말을 못 하는 사람을 다시 말하게 하신 데 대한 반응으로 보입니다. 바리사이들은 이와 반대되는 반응을 보입니다. 그들은 예수님께서 하신 일에서 마귀를 쫓아낸 것에 더 집중합니다. 그리고 예수님을 “마귀 우두머리의 힘을 빌려 마귀들을 쫓아낸다.” 하고 비난합니다. 그들은 예수님의 업적을 부정적으로 이해하려고 하지만, 적어도 그들의 말에서 예수님께서 마귀를 쫓아내셨다는 것은 명확합니다.
오늘 복음은 마귀가 들린 것과 그 때문에 말을 못 하는 사람을 소개합니다. 군중은 말을 못 하던 이가 말을 하게 된 사실에 더 놀라고, 바리사이들은 마귀를 쫓아낸 것을 확인하여 줍니다. 아마도 복음은 군중의 반응과 함께 바리사이들의 반응을 전하면서 한편으로 말을 하게 만드신 예수님의 업적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마귀를 쫓아내신 능력을 드러내는 것 같습니다. 마치 예수님의 업적을 경탄의 눈으로 바라보든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든 말을 못 하는 사람이 말을 하게 되었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고 말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