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28일 금요일
[홍] 성 이레네오 주교 학자 순교자 기념일
이레네오 성인은 130년 무렵 소아시아의 스미르나(오늘날 튀르키예의 이즈미르)에서 태어났다. 로마에서 공부한 그는 프랑스 리옹에서 사제품을 받고, 뒤에 그곳의 주교가 되어 특히 프랑스 영지주의 이단들의 오류를 거슬러 가톨릭 신앙을 옹호하는 일에 많은 힘을 쏟았다. 2세기 교회의 중요한 신학자 가운데 한 사람으로 활동한 성인은 영지주의 이단의 오류를 낱낱이 지적한 「이단 논박」이라는 유명한 저서를 남겼다. 성인은 200년 무렵 순교한 것으로 전해진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2022년 이레네오 성인을 일치의 학자(Doctor Unitatis)라는 칭호와 함께 교회 학자로 선포하였다.
입당송 말라 2,6
본기도
제1독서
<유다 백성은 고향을 떠나 유배를 갔다(25,21ㄴ).>25,1-12
화답송시편 137(136),1-2.3.4-5.6(◎ 6ㄴㄹ)
복음 환호송마태 8,17 참조
복음
<주님께서는 하고자 하시면 저를 깨끗하게 하실 수 있습니다.>8,1-4
예물 기도
영성체송 요한 15,4-5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이스라엘의 위대한 점은 주님 말씀에 충실하였다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그들은 계속해서 하느님의 말씀을 거슬렀고 주님의 사랑을 저버렸습니다. 그들의 위대함은 자신의 실패를 감추지 않고 드러냈으며, 신앙의 눈으로 실패의 역사를 바라보고 이를 끝까지 기억하며, 그 책임이 온전히 자신에게 있음을 고백하는 데에 있습니다.
오늘 제1독서는 유다 왕국이 바빌론에게 멸망한 역사를 들려줍니다. 예루살렘 성전과 왕궁과 모든 집은 불태워지고, 임금과 남은 백성은 포로가 되어 바빌론으로 끌려갑니다. 이스라엘은 패배하고 이방인의 포로가 된 이 치욕적인 역사를 낱낱이 기억하며 그 원인을 살펴보았습니다. 자신들이 율법을 따르지 않았고, 하느님과 맺은 계약을 어겼다는 것을 인정하며 반성합니다. 그래서 다시 계약에 충실하고자 주님의 말씀 자료들을 정리합니다. 그렇게 바빌론 유배 시기에 구약 성경이 정립됩니다. 실패의 역사를 회피하지 않고 신앙의 눈으로 반성한 이스라엘은 주님의 말씀을 다시 정립하게 되었으며, 그 경전으로 이스라엘은 더 충실한 하느님의 백성으로 나아가게 됩니다.
하느님께 더 가까워지는 때는, 하느님께 충실하다고 자신하기보다 자신의 잘못을 잘 알고 그것을 돌아보며 주님의 자비를 청할 때입니다. 흠 없이 주님 뜻을 따르고 있다고 여기는 사람보다 자신이 얼마나 부족한지 얼마나 죄인인지 절실하게 깨닫는 사람이 더 거룩하고 더 성숙하게 보입니다. 자신의 잘못과 부족함을 합리화하거나 정당화하기보다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겸손하게 주님의 자비를 청하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