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1월 26일 일요일
[녹] 연중 제3주일 (하느님의 말씀 주일, 해외 원조 주일)
프란치스코 교황께서는 연중 제3주일을 ‘하느님의 말씀 주일’로 선언하시며(2019년 9월 30일), 하느님 백성이 성경을 더욱더 경건하고 친숙하게 대하고, 하느님 말씀의 거행과 성찰과 전파를 위하여 이날을 봉헌하며 장엄하게 지내기를 권고하셨다.
해마다 1월 마지막 주일은 전 세계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 나눔을 실천하는 ‘해외 원조 주일’이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는 1992년 추계 정기 총회에서 전 세계의 가난하고 고통받는 이웃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촉구하고자 이 주일의 2차 헌금을 해외 원조 기금으로 사용하도록 결정하였다.
오늘 전례
오늘은 연중 제3주일이고 하느님의 말씀 주일이며, 해외 원조 주일입니다.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그리스도를 보내시어, 가난한 이들에게 하느님 나라의 기쁜 소식을 전하게 하셨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으로 우리가 한마음 한 몸이 되어, 질병과 기아, 전 지구적 기후 재난으로 고통을 겪는 세계의 가난한 이들을 위하여 가진 것을 나누기로 다짐하며 미사에 참여합시다.
입당송 시편 96(95),1.6
본기도
영원히 살아 계시며 다스리시는 성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제1독서
<레위인들은 율법서를 설명하면서 읽어 주었다.>8,2-4ㄱ.5-6.8-10
화답송시편 19(18),8.9.10.15(◎ 요한 6,63ㄷ 참조)
제2독서
<여러분은 그리스도의 몸이고 한 사람 한 사람이 그 지체입니다.>12,12-30
12,12-14.27
복음 환호송루카 4,18
복음
<오늘 이 성경 말씀이 이루어졌다.>1,1-4; 4,14-21
보편 지향 기도
<각 공동체 스스로 준비한 기도를 바치는 것이 바람직하다.>1. 교회를 위하여 기도합시다.
진리이신 주님, 하느님의 말씀 주일을 맞은 교회를 이끌어 주시어, 하느님 백성인 교회가 성경 말씀을 더욱 소중히 여기고 삶으로 실천하게 하소서.
2. 정치인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공정하신 주님, 이 땅의 정치인들을 굽어살피시어, 이념과 정당의 이익을 떠나 나라의 발전과 국민의 안전을 위하여 정책을 세우고 실천하도록 이끌어 주소서.
3. 굶주리는 이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온유하신 주님, 굶주리는 이들을 굽어보시어, 몸소 그들의 건강을 지켜 주시고, 저희는 그들에게 베푸는 것이 곧 주님께 드리는 것임을 깨닫고 나눔을 실천하게 하소서.
4. 본당 사도직 단체들을 위하여 기도합시다.
희망이신 주님, 저희 본당의 사도직 단체들을 살펴 주시어, 전례 안에서 선포되는 하느님 말씀을 깊이 새기고 삶 안에서 실천하며 하느님의 신비를 드러내게 하소서.
예물 기도
감사송
<연중 주일 감사송 1 : 파스카 신비와 하느님 백성>영성체송 시편 34(33),6 참조
요한 8,12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우리 가운데에서 이루어진 일들에 관한 이야기를 엮는 작업에 많은 이가 손을 대었습니다.” 루카 복음사가의 말대로 “목격자로서 말씀의 종이 된 이들이 우리에게 전해 준 것을 그대로” 믿고, 이스라엘 백성처럼 “아멘, 아멘!” 하고 응답합시다. 우리가 배운 것은 진실한 것입니다.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루카 복음서 서문에 나오는 ‘테오필로스’라는 이름은 상징적인 이름으로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루카 복음서 저자는 하느님을 사랑하는 사람들, 곧 모든 시대의 우리 그리스도인들에게 자신이 적고 있는 예수님에 관한 일들이 모두 진실임을 선포하고자 한 것이지요.
사실 복음서가 기록되기까지 여러 단계의 과정이 있었습니다. 먼저, 예수님의 삶과 죽음과 부활이라는 역사적 실재가 있었지요. 다음으로는 사도들의 증언을 통한 복음 선포가 이어집니다. 그러다 점차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에 대한 여러 단편적인 구두 전승을 모아 기록하기 시작합니다. 자신들이 만나고 체험한 예수님을 길이 전하기 위해서지요. 그 덕분에 우리는 오늘 복음서를 읽고 묵상함으로써 예수님을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 이 성경 말씀이 너희가 듣는 가운데에서 이루어졌다”(루카 4,21). 이 선언은 바로 예수님께서 오시기로 예언된 메시아시요 구세주이심을 가장 분명하게 드러내 주는 표현입니다. 당신으로 말미암아 가난한 이들과 눈먼 이들, 무엇인가에 붙잡혀 묶이고 억압받던 이들이 구원과 해방을 체험하게 되었다는, 그래서 많은 이가 주님의 은혜로움을 고백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제1독서를 보면, 유배에서 돌아온 이스라엘 사람들이 레위인들에게서 하느님의 율법을 듣습니다. 그들은 하나같이 눈물을 흘리며 그 율법이 참되다고 고백합니다. 모진 고생을 통하여 마음의 눈과 귀가 열려 그것을 깨닫게 된 것입니다. 이는 오직 구약과 신약 시대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우리도 그러합니다. 오늘도 겸손과 신뢰의 마음으로 복음을 읽고 묵상하는 이들이 예수님을 깊이 만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