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7월 09일 수요일
[녹] 연중 제14주간 수요일 또는
[홍] 성 아우구스티노 자오룽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입당송 시편 48(47),10-11
본기도
제1독서
<그래, 우리가 아우의 일로 죗값을 받는 것이 틀림없어.>41,55-57; 42,5-7ㄴ.17-24ㄱ
화답송시편 33(32),2-3.10-11.18-19(◎ 22 참조)
복음 환호송마르 1,15
복음
<이스라엘 집안의 길 잃은 양들에게 가라.>10,1-7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34(33),9 참조
마태 11,28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예수님께서 공생활을 시작하실 때 복음을 선포하시면서 처음으로 하신 일이 제자들을 부르시는 일이었습니다(마태 4,17-22 참조). 제자들을 불러 모으시어 공동체를 형성하셨고 그 가운데에서 특별히 열두 명을 뽑아 사도라는 칭호를 주시며(루카 6,13 참조) 파견하십니다. 예수님께서 열두 사도를 뽑으신 것은, 본디 열두 지파로 이루어졌으나 유배 후에 사라진 지파들도 많아서 지금은 그 명맥조차 잇지 못하고 있는 이스라엘 백성을 재건하시려는 의도이셨습니다. 이처럼 예수님께는 공동체가 중요하였습니다.
그런데 열두 제자들을 하나하나 곰곰이 살펴보면 이들의 공동체 삶이 녹록하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유다의 독립을 위하여 무장 투쟁마저 마다하지 않았던 열혈당원 시몬은 로마 제국을 위하여 일하였던 세리 마태오와 관계가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예수님의 뚫린 손과 발, 옆구리를 보고 손가락을 넣어 보아야 믿을 수 있다고 할 만큼 신중하고 의심 많은 토마스는 성급하고 충동적이던 베드로와 다혈질이던 제베대오의 아들들과(루카 9,54; 마르 3,17 참조) 같이 지내기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그리고 율법을 신중하게 공부하던 지식인 나타나엘은(요한 1,48 참조) 많이 배우지 못한 어부 출신 제자들을 이해하기가 어려웠을 것입니다. 게다가 거짓이 없는 그는(1,47 참조) 공동체 지갑에서 자주 돈을 빼내 가던 부정직한 유다 이스카리옷을(12,6 참조) 보면서 분통이 났을 것입니다. 참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도 이들은 공동체를 이룰 수 있었습니다. 그들을 묶어 주었던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예수님이십니다. 우리가 이 핵심을 잃으면 우리의 공동체는 바로 서지 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