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06월 21일 월요일
[백]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 수도자 기념일
알로이시오 곤자가 성인은 1568년 이탈리아의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그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군인이 될 수도 있었지만 귀족 사회의 폭력과 방종에 실망하고 선교사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찼다. 그리하여 열일곱 살 때 재산 상속의 모든 권리를 포기한 채 로마에서 예수회에 입회하였다. 성인은 1591년 로마 전역에 흑사병이 번졌을 때 그 환자들을 정성껏 돌보다가 감염되어, 스물셋의 젊은 나이에 신학생 신분으로 선종하였다. 1726년 베네딕토 13세 교황께서는 그를 시성하시며 청소년의 수호성인으로 선포하셨다.
입당송 시편 24(23),4.3 참조
본기도
말씀의 초대
주님께서 아브람에게, 고향과 친족과 아버지의 집을 떠나 당신께서 보여 주실 땅으로 가라고 하시자, 그가 길을 떠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남을 심판하지 말라시며, 그래야 너희도 심판받지 않는다고 하신다. 아울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면서,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고 말씀하신다(복음).
제1독서
<아브람은 주님께서 이르신 대로 길을 떠났다.>12,1-9
화답송시편 33(32),12-13.18-19.20과 22(◎ 12ㄴ 참조)
복음 환호송히브 4,12 참조
복음
<먼저 네 눈에서 들보를 빼내어라.>7,1-5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78(77),24-25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아브람이 하느님의 말씀을 처음으로 듣게 됩니다. 그 말씀 안에서 “가거라.”라는 명령이 주어집니다. 그리고 아브람은 아주 단순하게 “주님께서 이르신 대로” 길을 떠납니다. 이 짧은 구절 안에서 함께 생각하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먼저, 하느님의 말씀이 끝난 뒤에 이어지는 아브람의 행동을 성경은 “아브람은 주님께서 이르신 대로 길을 떠났다.”라고 단순하게 알려 줍니다.
아브람은 하느님의 말씀에 대해서 “왜요?”라고 반문하거나, ‘가야 하나, 말아야 하나?’ 고민하지 않고, 말씀이 끝나자마자 곧바로 움직입니다. 그의 행동에는 망설임이 없습니다. 그는 하느님 말씀에 자신의 온 존재를 던지면서, 곧바로 행동으로 옮깁니다. 둘째로, 그는 자신이 원하거나 이해한 대로 움직이지 않습니다. 그는 “도대체 어디로 가라는 말씀입니까?” 하고 묻지도 따지지도 않습니다. 그는 가나안 땅에 도착해서야 “내가 이 땅을 너의 후손에게 주겠다.”라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습니다. “가거라.”라는 하느님의 명령을 들었을 때, 어디로 가야 할지도 모르는 상황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그는 그저 “주님께서 이르신 대로” 행동할 뿐이었습니다.
우리는 아브람(아브라함)을 ‘믿음의 조상’이라고 합니다. 그가 들은 하느님의 말씀을 생각하면 그는 복을 받은 사람이고, 그를 통해서 세상의 모든 사람이 복을 받게 됩니다. 복된 사람인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가 그런 하느님 축복의 통로요, 믿음의 조상이 되고자 보여 준 행동은 자신의 의지나 뜻이 아닌, 주님께서 이르신 대로 망설임 없이 움직이는 것이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하느님의 말씀과 부르심에 우리는 어떻게 응답하고 있습니까? 아브람의 모습과 비교하여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