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02월 02일 수요일
[백] 주님 봉헌 축일 (축성 생활의 날)
교회는 성탄 다음 40일째 되는 날 곧 2월 2일을 주님 성탄과 주님 공현을 마무리하는 주님 봉헌 축일로 지낸다. 이 축일은 성모님께서 모세의 율법대로 정결례를 치르시고 성전에서 아기 예수님을 하느님께 봉헌하신 것을 기념한다. 예루살렘에서는 386년부터 이 축일을 지냈으며, 450년에는 초 봉헌 행렬이 여기에 덧붙여졌다.
성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는 이날을 ‘축성 생활의 날’로 제정하시어, 복음 권고의 서원으로 주님께 축성받아 자신을 봉헌한 축성 생활자들을 위한 날로 삼으셨다. 이에 따라 교회는 해마다 맞이하는 이 축성 생활의 날에 축성 생활 성소를 위하여 특별히 기도하고, 축성 생활을 올바로 이해하도록 권고한다.
한편 한국 교회는 ‘Vita Consecrata’를 ‘축성 생활’로 옮기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봉헌 생활의 날’을 ‘축성 생활의 날’로 바꾸었다(주교회의 상임위원회 2019년 12월 2일 회의).
초 축복과 행렬
입당송 시편 48(47),10-11
본기도
말씀의 초대
말라키 예언자는 주님께서 당신의 사자를 보내시어 주님의 길을 닦게 하실 것이라고 한다(제1독서). 정결례를 거행하는 날이 되자 예수님의 부모가 아기를 예루살렘으로 데리고 올라가 주님께 바친다. 시메온은 아기가 반대받는 표징이 되리라고 예언하고, 한나 예언자는 하느님께 감사드린다(복음).
제1독서
<너희가 찾던 주님, 그가 자기 성전으로 오리라.>3,1-4
2,14-18
화답송시편 24(23),7.8.9.10(◎ 10ㄴㄷ)
복음 환호송루카 2,32 참조
복음
<제 눈이 주님의 구원을 보았습니다.>2,22-40
2,22-32
예물 기도
감사송
<주님의 축일과 신비 감사송 7 : 주님 봉헌의 신비(2월 2일)>영성체송 루카 2,30-31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마리아와 요셉은 율법의 관례에 따라 아기 예수님을 하느님께 봉헌합니다. 첫아들로 태어난 그 갓난아기가 그들에게는 얼마나 귀하고 특별한 존재였을까요? 구약의 율법은 맏아들, 가축의 맏배, 햇곡식 등 이스라엘 백성이 가장 소중하게 여길 만한 것들을 주님께 바치도록 규정하는데(탈출 13,2; 레위 23,10 참조), 이는 주님께서 베푸신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그분께 가장 좋은 것을 내드려야 함을 의미합니다. 마리아와 요셉은 자신들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그 소중한 아들을 하느님께 감사하는 마음으로 기꺼이 봉헌합니다.
성전에 등장하는 나머지 두 인물도 자기 일생을 온전히 주님께 봉헌하였던 이들입니다. 시메온은 이스라엘이 위로받을 때를, 곧 메시아의 도래로 실현될 구원의 때를 간절히 기다리며 의롭고 독실하게 한평생을 살았던 사람입니다. 한나도 마찬가지로 과부로 지낸 오랜 세월 “성전을 떠나는 일 없이 단식하고 기도하며 밤낮으로 하느님을 섬겼던” 예언자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그토록 기다리던 구원자를 두 눈으로 직접 목격하는 값진 보상을 얻게 됩니다. “제 눈이 당신의 구원을 본 것입니다.”
주님 봉헌 축일은 시메온과 한나처럼 하느님께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기로 서약한 수도자들을 특별히 기억하는 날이기도 합니다. 오늘 하루, 주님께 봉헌된 이들의 숭고한 삶에 깊은 존경과 기도를 드리면서, 아울러 우리 각자는 주님을 위하여 무엇을 봉헌하고 있는지, 또 무엇을 봉헌할 수 있는지 성찰해 봅시다. 각자의 마음속에 품고 있는 소중한 것들을 하나둘씩 꺼내어, 주님께서 몸소 마련하신 구원의 선물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기쁘게 봉헌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