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2월 14일 화요일
[백] 성 치릴로 수도자와 성 메토디오 주교 기념일
치릴로 성인과 메토디오 성인은 형제로, 그리스 테살로니카에서 태어나 튀르키예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교육을 받았다. 두 형제는 후대에 ‘키릴’ 문자로 불리는 글자를 만들어 전례문들을 슬라브 말로 옮겼고, 체코 모라비아의 슬라브족에게 파견되어 복음을 전하며 헌신적으로 일하였다. 로마로 돌아간 다음, 치릴로 성인은 수도 서원을 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869년 무렵에 선종하였다. 메토디오 성인은 교황 특사로 모라비아에서 활동하다가 벨레라드에서 885년 무렵 선종하였다.
입당송
본기도
제1독서
<내가 창조한 사람들을 이 땅 위에서 쓸어버리겠다.>6,5-8; 7,1-5.10
화답송시편 29(28),1ㄱ과 2.3ㄱㄷ과 4.3ㄴ과 9ㄷ-10(◎ 11ㄴ)
복음 환호송요한 14,23 참조
복음
<바리사이들의 누룩과 헤로데의 누룩을 조심하여라.>8,14-21
예물 기도
영성체송 마르 16,20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창세기 저자가 아담의 후손들(5장 참조) 가운데에서 특별히 주목한 사람은 두 명, 곧 ‘에녹’과 ‘노아’입니다. 에녹은 이 족보의 인물들 가운데에서 가장 완전한 사람으로 평가되어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을 설명할 때 창세기 저자가 쓴 “-가 살았다.”라는 표현 대신에 에녹을 위해서는 “하느님과 함께 걸었다.”(창세 5,24 직역)라는 표현을 썼기 때문입니다. 또 에녹의 경우에는 다른 사람에게 쓰였던 “(살다가) 죽었다.”라는 표현 대신 하느님께서 “데려가셨다”(5,24)는 말씀이 나옵니다. 여기서 흥미로운 것은 에녹과 노아의 연관성입니다. 학자들은 ‘에녹’이라는 이름에서 ‘노아’라는 이름이 나왔을 가능성이 크다고 합니다. 노아(nôaḥ)의 이름에서 자음을 거꾸로 배치하면 에녹(hanôkh)에 가까와집니다. 창세기 저자는 노아를 의롭고 흠 없는 사람으로 평가하고 에녹의 경우처럼 노아도 하느님과 함께 걸었다(6,9 참조)고 묘사합니다. 노아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홍수를 피하고 죽음을 건너갔습니다. 이처럼 창세기 저자는 에녹과 노아를 소개하며 하느님의 길 위에서 걸어간 사람들은 죽음을 알지 못한다고 강조합니다.
오늘 제1독서는 노아를 눈여겨보신 하느님에 대하여 이야기합니다. 사람들이 그들 마음의 생각을 따라 살며 세상을 파괴하고 황폐하게 만들고 있을 때 노아만은 하느님과 함께 걸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인지 하느님께서 노아에게 방주의 건설과, 그 다음에 할 일을 지시하시는 두 번의 말씀은 무척 깁니다(6,12-21; 7,1-13 참조). 이것은 마치 홍수가 하느님의 주된 관심사가 아니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폭력과 악으로 세상이 다시 ‘혼돈’으로 돌아가는 것과는 정반대로 방주는 아주 잘 지어진 또 다른 세상입니다. 방주는 하느님께 의지하며 살아가는 의인과 함께 세상을 새롭게 시작하시겠다는 하느님의 뜻을 드러내는 표징입니다. 또한 의로운 목자의 지도 아래 세상을 새롭게 하고 이어지게 하시려는 하느님의 계획이 실현되는 장소입니다. 우리도 이 세상에서 노아와 같은 사람으로 살아갈 꿈을 접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예수님의 뒤를 따라, 에녹과 노아처럼 하느님과 함께 걸으며 하느님 나라를 위한 그분의 계획을 실현하는 우리의 작은 ‘방주’를 지으며 살아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