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06월 03일 토요일
[홍] 성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순교자들 기념일
가롤로 르왕가와 동료 성인들은 우간다의 순교자들이다. 우간다를 비롯한 동아프리카 지역에는 19세기 말에 그리스도교가 전파되었다. 왕궁에서 일하던 가롤로 르왕가는 교리를 배우고 세례를 받은 뒤, 자신의 신앙을 떳떳하게 고백하며 궁전의 다른 동료들에게도 열성적으로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그러나 그리스도교를 박해하는 왕조가 들어서면서 배교를 강요받던 그와 스물한 명의 동료들은 끝까지 굽히지 않다가 1886년 6월에 순교하였다. 1964년 성 바오로 6세 교황께서는 우간다 교회의 밑거름이 된 이들을 ‘우간다의 순교자들’이라고 부르시며 시성하셨다.
입당송 지혜 3,6-7.9 참조
본기도
제1독서
<나에게 지혜를 주신 분께 영광을 드리리라.>51,12ㄷ-20ㄴ
화답송시편 19(18),8.9.10.11(◎ 9ㄱㄴ)
복음 환호송콜로 3,16.17 참조
복음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11,27-33
예물 기도
영성체송 시편 116(114─115),15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당신은 무슨 권한으로 이런 일을 하는 것이오?” 수석 사제들과 율법 학자들 그리고 원로들이 예수님의 권한을 가지고 시비를 겁니다. 유다교 최고 권위자인 이들은 자기들 권위의 바탕이 되는 성전에서 예수님께서 보이신 무례한 행동, 곧 상인들을 내쫓으시고 탁자와 의자를 둘러엎으시는 그분의 결기를 보고 당황하였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 그러한 예수님의 모습에 감탄하는 군중을 보고 굉장한 위기의식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자신들만 누리던 지위와 명예를 곧 예수님께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밀려왔을 것입니다.
예수님께서는 반문하시며 오히려 그들을 궁지에 몰아넣으십니다. “요한의 세례가 하늘에서 온 것이냐? 아니면 사람에게서 온 것이냐?” 그들은 예수님의 질문에 대한 정답을 찾는 데에는 큰 관심이 없습니다. 다만 자기들이 고를 답변이 군중에게 어떻게 비추어질지, 그리고 어떤 영향을 미칠지만을 고려합니다. 만일 세례자 요한의 권위를 인정한다면, 그 요한이 ‘내 뒤에 오실 분’이라고 증언하였던 예수님을 인정하지 않는 자신들의 꼴이 우스워질 것을 미리 걱정합니다. 반대로 요한의 권위를 부정한다면, 그를 참예언자로 여기던 군중에게서 외면당할 처지에 놓일까 미리 걱정합니다. 결국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한 채, “모르겠소.” 하며 답하기를 피합니다.
오늘 복음에 나타나는 유다 지도자들은 세상에서 누리는 지위와 명예와 권한에 집착하는 인물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치열한 경쟁 속에 살아가는 우리도 이런 모습에서 자유롭지 못할 때가 있습니다. 어렵게 차지한 지금의 자리와, 그 자리에 주어진 권한을 누구에게도 빼앗기고 싶지 않아서 주변 사람을 경쟁자나 적으로 쉬이 생각하여 버리기도 합니다. 그러한 욕망과 집착은 결국 우리의 눈을 멀게 하고 영혼을 피폐하게 만듭니다. 온갖 종류의 힘과 권한은 어떤 개인에게만 국한된 소유물이 아닙니다. 그것은 모두 하느님에게서 비롯되며 개인의 영광이 아닌 모든 이의 선을 위하여 쓰이는 봉사의 도구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