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홍]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오늘은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의 동료 순교 복자들을 기념하는 날이다. 이 124위 복자들은 103위 성인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순교 사실이 새롭게 드러나고 각 지역에서 현양되던 한국 천주교회의 초기 순교자들이다.
대표 순교자인 윤지충 복자의 순교일은 12월 8일이지만, 이날은 한국 교회의 수호자,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 대축일이다. 이 때문에 한국 교회는 그가 속한 전주교구의 순교자들이 많이 순교한 5월 29일을 기념일로 정하고 순교자 현양을 위하여 성대하게 지내도록 하였다. 한편 교구장의 재량에 따라 성 바오로 6세 교황 기념일도 선택하여 거행할 수 있게 하였다(주교회의 2019년 추계 정기 총회).
입당송 마태 25,34 참조
본기도
제1독서
<그들은 죽기까지 목숨을 아끼지 않았다.>12,10-12ㄱ
화답송시편 34(33),2-3.4-5.6-7.8-9(◎ 5ㄴ 참조)
복음 환호송야고 1,12
복음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는다.>12,24-26
예물 기도
감사송
<순교자 감사송 1 : 순교자들의 증거와 모범>영성체송 묵시 2,7
승리하는 사람에게는 내가 하느님의 낙원에 있는 생명나무의 열매를 먹게 해 주리라. 알렐루야.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오늘은 2014년 8월 16일 프란치스코 교황께서 시복하신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를 기념하는 날입니다. 1984년 한국 103위 순교 복자의 시성 과정에서 당시 요한 바오로 2세 교황께서, 한국 교회가 평신도 중심의 신앙 공동체로 시작하였다고 알고 있는데, 왜 이들 복자에는 초기의 평신도 순교자들이 없냐고 물으셨다고 합니다. 그래서 파리 외방 전교회 선교사들이 자세하게 순교 기록을 남긴 후대의 순교자 중심으로 먼저 시복을 추진하면서 초기 순교자들이 포함되지 않았다고 대답하자, 교황께서는 초기 순교자들도 조사해서 시복을 추진하도록 당부하셨다고 합니다. 그 결실이 2014년 124위 순교 복자의 탄생입니다.
십 년 전 사제 안식년을 맞아 칠십 일 동안 전국 도보 성지 순례를 하였는데, 그때 특별히 감명 깊게 순례한 곳들이 바로 새로 시복된 복자들의 성지였습니다. 경남 진주시 사봉면 사봉 성지에는 복자 정찬문 안토니오의 무두묘가 있습니다. 효수형을 받은 까닭에 머리는 관아에 남겨 두고 몸만 옮겨 와 모셨다고 합니다. 경남 함안의 대산 성지 성당에는 스물두 살에 혹독한 매질 끝에 장독으로 순교한 복자 구한선 타대오가 잠들어 있습니다. 김해시 진례읍의 산 중턱에는 복자 박대식 빅토리노 순교자의 묘지가 있습니다. 성지로 오르는 산길은 좁고 엉성하였습니다. 본래는 부유한 집안 출신인데 천주교 신앙을 가지고 순교한 뒤 마을 주민들의 반대로 선산에 모시지 못하고 그곳에 간신히 묘를 꾸렸다고 합니다. 오래도록 가슴이 먹먹하였던 기억이 납니다.
시복된 지 십 년이 지났으니 이들 성지도 많이 바뀌었으리라 생각합니다. 조만간 안식년을 얻는다면 다시 찾아가 보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