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백]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이날은 예수님의 십자가 길을 함께하신 성모님의 고통을 기억하는 날이다. 일찍이 시메온은 성모님의 고통을 예언하였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루카 2,34-35). 성모님의 고통을 묵상하고 기억하는 신심은 오래전부터 널리 퍼져 있었으며, 1688년 인노첸시오 11세 교황께서 이 기념일을 정하셨다. 1908년 성 비오 10세 교황께서는 ‘성 십자가 현양 축일’ 다음 날인 9월 15일로 이 기념일을 옮기고 예수님의 십자가 고통과 연결하여 기억하게 하셨다.
입당송 루카 2,34-35 참조
본기도
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순종을 배우셨고, 영원한 구원의 근원이 되셨습니다.>5,7-9
화답송시편 31(30),2-3ㄱㄴ.3ㄷㄹ-4.5-6.15-16.20(◎ 17ㄴ 참조)
부속가
<아래의 부속가는 자유로이 할 수 있다. 11절부터 시작하여 짧게 할 수도 있다.>1. | 아들예수 | 높이달린 | 십자곁에 | 성모서서 | 비통하게 | 우시네. |
2. | 섧고설운 | 슬픔고통 | 성모성심 | 칼에찔려 | 참혹하게 | 뚫렸네. |
3. | 독생성자 | 수난하니 | 여인중에 | 복된성모 | 애간장이 | 다녹네. |
4. | 아들수난 | 보는성모 | 맘저미는 | 아픔속에 | 하염없이 | 우시네. |
5. | 예수모친 | 이런고통 | 지켜보는 | 우리죄인 | 누가울지 | 않으리? |
6. | 십자가의 | 아들보며 | 함께받는 | 성모고통 | 누가슬퍼 | 않으리? |
7. | 우리죄로 | 채찍모욕 | 당하시는 | 아들예수 | 성모슬피 | 보시네. |
8. | 기진하여 | 버려진채 | 죽어가는 | 아들보고 | 애처로이 | 우시네. |
9. | 사랑의샘 | 동정성모 | 저희들도 | 슬퍼하며 | 함께울게 | 하소서. |
10. | 그리스도 | 하느님을 | 사랑하는 | 제마음에 | 불이타게 | 하소서. |
11. | 어머니께 | 청하오니 | 제맘속에 | 주님상처 | 깊이새겨 | 주소서. |
12. | 저를위해 | 상처입고 | 수난하신 | 주님고통 | 제게나눠 | 주소서. |
13. | 사는동안 | 십자고통 | 성모님과 | 아파하며 | 같이울게 | 하소서. |
14. | 십자곁에 | 저도서서 | 성모님과 | 한맘으로 | 슬피울게 | 하소서. |
15. | 동정중의 | 동정이신 | 성모님의 | 크신슬픔 | 저도울게 | 하소서. |
16. | 주님상처 | 깊이새겨 | 그리스도 | 수난죽음 | 지고가게 | 하소서. |
17. | 저희들도 | 아들상처 | 십자가위 | 흘린피로 | 흠뻑젖게 | 하소서. |
18. | 동정성모 | 심판날에 | 영원형벌 | 불속에서 | 저를지켜 | 주소서. |
19. | 그리스도 | 수난공로 | 십자가의 | 은총으로 | 보호하여 | 주소서. |
20. | 이몸죽어 | 제영혼이 | 천국영광 | 주예수님 | 만나뵙게 | 하소서. |
복음 환호송
복음
<아들 수난 보는 성모 맘 저미는 아픔 속에 하염없이 우시네(‘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부속가).>19,25-27
2,33-35
예물 기도
감사송
<복되신 동정 마리아 감사송 1 : 어머니이신 마리아>영성체송 1베드 4,13 참조
영성체 후 묵상
영성체 후 기도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에서는 예수님의 십자가 고통이 막바지에 이르러 있습니다. 조금 뒤에는 “다 이루어졌다.”(요한 19,30)라고 하시면서 숨을 거두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당신의 십자가 죽음이 죄의 용서를 위한 커다란 선물임에도 부족하다고 생각하셨는지, 이 마지막 순간에 예수님께서는 당신에게 소중한 분을 주시고자 합니다. 바로 당신의 어머니이십니다.
사랑하는 사람은 더 주고 싶어 애달아 합니다. 예수님께서는 사랑하시는 제자를 통하여 당신의 어머니를 우리 모두에게 어머니로 주십니다. 예수님께서는 자라시면서 당신 어머니께 따뜻한 사랑을 받으셨고, 우리도 그 어머니의 사랑을 받기를 바라신 것입니다. 그리고 예수님의 어머니께서도 그분 말씀을 받아들이시어 우리를 모두 당신의 사랑하는 자녀로 받아 주십니다. 그래서 예수님을 따르는 여정에서 우리는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고 어머니의 모범 안에서 격려와 위로를 받습니다.
오늘 복음의 장면은 더 깊은 의미도 담고 있습니다. 성모님의 아드님은 예수님 한 분뿐이셨습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성모님께 “이 사람도 어머니의 아들입니다.”라고 하시지 않고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19,26)라고 하십니다. 이 말씀으로 예수님께서는 사랑하시는 제자, 곧 우리를 모두 당신과 하나가 되게 하십니다. 바오로 사도는 세례가 예수님의 십자가와 부활에 우리가 하나 되는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로마 6,3-5 참조). 우리는 예수님과 하나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하나 됨은 예수님 말씀에서 알 수 있듯 성모님을 통해서도 이루어졌습니다.